논문 상세보기

T. S. 엘리엇의 스위니 아고니스테스― 아리스토파네스풍의 멜로드라마의 단편 의 이해할 수 있는 실패 KCI 등재

The Understandable Failure of T. S. Eliot’s Sweeney Agonistes: Fragments of an Aristophanic Melodram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4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T.S.엘리엇연구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한국T.S.엘리엇학회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초록

스위니 아고니스테스 는 극적 형태에 있어서 T. S. 엘리엇의 첫 번 째 탐구 작업인 바, 대체적으로 실패라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엘리엇 이 이 시를 자신의 시 전집들에 포함시켰다는 사실은 독자들로 하여금 그것의 의미를 그의 작품 전체 속에서 숙고하게 만든다. 그의 초기 작 품들의 명백한 미숙함으로부터의 이탈이 변화나 역전의 신호가 아니라 그의 정서의 확대나 발전이라는 그의 안내를 따라간다면, 이 시는 보통 사람들의 감상주의적인 성향에도 불구하고 보통 사람들의 정서를 변화 시키려는 첫 번째 단계인 것이다. 이 시가 인기가 많았던 마리 로이드 처럼 관객에 대한 정서적 혁명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는 첫 번째 단계로 의 입문이었기 때문에, 단순히 ‘실패’라기보다는 ‘성공적인 실패’라고 정 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패의 결과로 이어지는 시극들 전부에서 ‘유머’ 의 어조가 ‘심각함의 어조로 바뀌었다. 하지만 관객의 의식적인 관심을 요구하겠다는 그의 전략의 이러한 변경이 엘리엇의 정서적 혁명의 최종 목표인 공동체의 영적 가치관을 변화시키기에 충분히 좋지는 않았다.

Sweeney Agonistes is T. S. Eliot’s first exploration in dramatic form and generally regarded as a failure. But his inclusion of this poem in his collections of poems makes the readers speculate on its significance in his oeuvre. Following his guide that his departure from the apparent immaturity in his earlier works is a sign not of change or reversal but of expansion or development of his emotion, this poem is a first step to change ordinary people’s sensibility in spite of their propensity to sentimentalism. It should not be defined just as a “failure” but as a “successful failure” because it is an initiation into the final phase of maximizing the influence of his revolution in sensibility upon the audience like popular Marie Lloyd. As a result of its failure, the tone of humor is changed into that of seriousness in all the following poetic dramas, even though this alteration of his strategy to ask for his audience’s conscious attention is not good enough to change the spiritual values of his community, which is Eliot’s ultimate goal of revolution in sensibility.

저자
  • Man-Sik Lee(teaches at Gachon University) | 이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