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從新加坡學生日常使用漢字字頻談新加坡華文課程與教學規劃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4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싱가폴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한자를 학습해야 할까? 한자교육은 어떤 교육의 순서를 따라야 생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중국어 교육에서 한자 교육의 양과 순서는 싱가폴 중국어 교육계의 일관된 관심거리였다.
싱가폴에서 이전에 중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할 당시에 중국어 기초 한자어휘표(예를 들어, 《南洋․ 星洲聯合早報用字用詞調查報告》)를 공표하거나 대학의 개별 하가들이 어문교재에서 사용되는 한 자와 어휘의 양을 조사하여 참고하는 자료를 제작하여 字表를 제작하여 교재를 편찬할 때 사용한 바 있다. 이러한 코퍼스 자료들과 연구 성과는 일정한 과학적 방법에 근거하였다. 그러나 당시 학생들의 실제 언어 생활에 대한 충분한 자료 조사에 근거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제2언어 학습으 로서의 중국어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는 어려웠다. 싱가폴의 복잡한 이중언어 환경 하에서 학생들이 한자를 학습하는 문제는 당연히 “用”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언어 환경 아래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한자를 이용하는 상황을 이해하여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싱가폴에서 중국어 교육과정과 교재를 편찬할 때에는 반드시 학생들의 생활 경험 에 근거하고 그들의 읽기에 대한 흥미를 고려한 후 일정한 코퍼스 자료를 수집하여 학생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한자의 수량을 수집하고, 이들 다시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후에야 비교적 올바른 한자의 학습량과 순서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용을 중점에 두고 한자의 교육 목적을 설정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본문은 한자 교육의 순서를 “優習指數”의 개념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 지수는 기존의 방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는 선진적인 방법일 뿐 아니라, 미래에 더 나은 방법을 모색하려 는 방향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Chinese educators in Singapore have long debated on the quantity of Chinese characters that students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should master and the effective sequence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curriculum planning department in Singapore used to adopt one of two approaches to compile characters list for Chinese instructional materials: to either take reference from a character and word table published by local Chinese newspapers (such as Lianhe Zaobao’s word utility survey report), or to take reference from surveys of character lists in Chinese language curriculum conducted by individual academics from higher institutions. These corpus and texts may be scientifically researched, however, the language environment of local students may not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hence the language needs of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may not be fully reflected. To better solve the challenge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in Singapore's complex bilingual context, we should begin with the aspect of uti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Hanzi) among local students.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Chines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has to be based on the actual living experience of local students and their reading interest. A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hinese corpus can then follow before deciding on the appropriate quantity and teaching sequence of Chinese character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r daily use, the author proposes to use a concept of Priority Index in the determination of teaching sequence of Chinese characters. The calculating process of the index will be discussed. Some ideas for future research will also be mentioned.

新加坡華文作為第二語言的學生究竟應該掌握多少漢字才足夠?漢字教學應遵循怎樣的教學順序 才能產生效果?華文課程中漢字教學的量和序, 一直是新加坡華文教學工作者關心的問題。新加坡過 去在規劃華文課程的時候, 編寫單位都會以當地華文報公佈的字詞表(如《南洋․星洲聯合早報用字用 詞調查報告》)或由高校個別學者所做的語文教材的用字用詞調查成果為參考依據, 定出字表編寫教材。 這些語料和研究成果雖有一定的科學性, 但由於對當前學生的實際語言應用環境未作充分考量, 因而比 較不容易反映華文二語學習者的實際學習需要。要處理好在新加坡複雜的雙語背景下學生學習漢字的 問題, 需要以“用”為出發點, 瞭解在當前語言環境下, 學生使用漢字的情況。換言之, 編寫新加坡的華 文課程與教材, 必須植根學生的生活經驗, 瞭解他們的閱讀興趣, 通過系統的語料採集把握學生最常接 觸的漢字數量, 再根據漢字的信息做科學分析, 才能較好地把握學習漢字的量和序的問題。為達到以 用為主的漢字教學目的, 本文提出了決定漢字教學順序的“優習指數”概念, 說明指數產出的步驟並簡 單說明未來可進一步探索的方向。

목차
Ⅰ. 新加坡華文教學的獨特性
 Ⅱ. 從“學以致用”的角度思考新加坡華文課程中漢字教學的需要
 Ⅲ. 如何掌握學生需要學習的漢字範圍?
 Ⅳ. 應用書面語語料庫產出規劃新加坡的漢字教學
  1. 在語料庫基礎上解決漢字教學量和教學順序的問題
  2. 從字頻與文本分佈率思考新加坡華文課程的漢字數量
  3. 根據“優習指數”規劃新加坡華文課程的漢字教學順序
 Ⅴ. 總結
 ▮參考文獻 Reference
 ▮中文摘要
 ▮Abstract
저자
  • 陳之權(싱가폴 南洋理工大學 싱가폴중국어교육연구센터장 겸 수석 교수) | Chin Chee-Ku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