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선형 동적해석을 통한 국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the Seismic Performance for Domestic URM Buildings Using Nonlinear Dynamic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48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선형 동적해석을 통한 국내 비보강 조적조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데 있다. 보다 정밀한 내진성능 평가를 위해 조적벽체의 파괴모드를 고려한 비선형 이력모델을 이용하고자 하나, 선행연구의 비선형 이력모델은 정적반복가력해석에 대한 검증만이 수행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동대실험과 동적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제안한 비보강 조적조 비선형 해석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한 다음, 국내 비 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층의 조적조 건축물의 경우 개구부율 에 관계없이 비교적 지진피해가 작은 반면, 2층 이상의 국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대부분이 국내에 발생가능한 지진에 취약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domestic unreinforced masonry(URM) buildings using nonlinear dynamic analysis. For that, the nonlinear hysteresis models suggested in the previous research were validated for the dynami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haking table test were compared with the dynamic analysis results using the suggested nonlinear hysteresis models. As a result, the nonlinear hysteresis models we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dynamic analysis of URM buildings. Based on the models, the dynamic analysis of domestic URM buildings varying the number of stories and opening ratio was carried ou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domestic URM buildings were very vulnerable to design earthquake in Korea.

목차
1. 서 론
 2. 조적조 비선형 해석모델의 적용성 검증
  2.1 해석모델의 개요
  2.2 비선형 동적해석의 적용성 검증
 3. 국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에 대한 동적해석
  3.1 해석 대상 모델의 개요
  3.2 해석 방법
  3.3 층간변위각에 의한 손상도 기준
  3.4 해석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백은린(정회원,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Eun-Rim Baek
  • 김정현(정회원, 대성구조이엔씨 기사) | Jung-Hyun Kim
  • 이상호(정회원,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교수) | Sang-Ho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