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평창 팔석정 경관의 특질과 의미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Landscape of Palseokjeong, Pyeongchang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6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평창군의 대표적 명승고적으로 분류되는 팔석정의 유래와 그 유래의 원천인 팔석(팔석) 그리고 바위글씨의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바위글씨의 주체인 양사언의 자연관 고찰을 전제로 팔석정에 새겨진 바위글씨의 의미해석을 시도 하였다. 이를 토대로 팔석정의 본질과 문화경관적 가치를 구명함으로써 팔석정의 보존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시도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팔석에 새겨진 바위글씨는 ‘봉래⋅영주⋅방장’의 삼신산(삼신산)과 ‘낚시풍류(조어)⋅잠풍류(오수)⋅바둑풍류(위기) ⋅ 연꽃 감상(상련)⋅도약(도약 또는 비상)’ 등 5가지의 풍류 의미를 함의하며, 이는 탈속을 통한 선계지향을 추구했던 양사언의 자연관과 휴양 개념을 담는 풍류놀이로 인식된다. 특히 최상부에 위치한 바위글씨 봉래(봉래)는 양사언의 호 (호)이자 ‘팔석정’과 ‘봉래(봉래고정)’의 주인인 자아(자아) 인식의 기표(기표)로 상정된다. 팔석정은 양사언의 기질과 그 의 시에 드러난 탈속(탈속)과 비상(비상) 등 도가적 유선(유선)을 지향하는 풍류놀이를 적재적소에 표기함으로써 탈속의 공간으로 재해석한 풍류터의 의미를 담는다. 또한 ‘석지청련’ 바위글씨가 전해지는 팔석정가든의 전정(전정)은 “이백과 동일시되는 양사언의 돌 연못”이란 의미로 이는 곧 ‘봉래고정’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종합적으로 팔석정은 조선조 대표적 문사이자 서예가인 봉래 양사언의 봉래고정 터와 함께 팔석에 새긴 여덟 개의 바위글씨의 의미가 지속적으로 유전된 임천정원(임천정원)으로서의 장소특성이 잘 드러난 평창의 대표적 정원유적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stone inscriptions on Palseokjeong based on the view of nature of Yang Sah Un, the inscriptions’ author; at the same time, it assesses the current state of the stone inscriptions and the origin of Palseok (八石) and Palseokjeong, which are classified as a representative scenic spot and place of historic interest in Pyeongchang.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Palseokjeong by investigating its scenic and cultural value, are described below. The stone inscriptions on Palseok underscore the meaning of the five types of elegant leisure—in addition to the Samshinsan (三神山) of “Bongrae”, “Yeongju”, and “Bangjang”, the inscriptions refer to fishing (釣魚), an afternoon nap (午睡), playing checkers (圍棋), admiring the lilies (賞蓮), and self-development/leaping (跳躍 or 飛翔)—and are recognized as embodying the concepts of rest and of Yang Sah Un’s view of nature, which pursued orientation toward the enchanted land through unworldliness. Particularly, Bongrae (蓬萊), the inscription located at the top of Palseok, is assumed to be the nom de plume and a symbol of self-recognition of the master of Palseokjeong and Bongrae. Palseokjeong’s meaning is in its reinterpretation of leisure areas as spaces that rise above the world. This is shown in the references to relevant elegant leisure relating to Taoist hermitry, such as rising above the world (脫俗) and soaring (飛翔), in Yang Sah Un’s poetry and temperament. Moreover, the front court (前庭) of Palseokjeong garden, where the stone inscription of “Seokjicheongryeon” is located, conveys the meaning “the stone pond of Yang Sah Un, who is Li Bai’s equal”; this is interpreted as pertaining to “Bongraegojeong” (蓬萊古亭). Overall, Palseokjeong, a representative of Pyeongchang’s garden relics, well demonstrates the location’s characteristics as a garden for the recluse; the meaning of the eight stone inscriptions on Palseok have continuously been inherited with the grounds of Bongraegojeong of Bongrae Yang Sah Un, the quintessential Chosun literary man and calligrapher.

저자
  • Jaehyun Rho(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 Hyunwoo Lee(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현우 Corresponding author
  • Taehee Park(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shin University) | 박태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