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적 자본으로서 텃밭활동이 중학생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School Gardening Programs as Social Capital to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Safety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7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이 연구는 텃밭활동을 통해 중학생이 학교폭력에 노출되지 않는 건강한 학교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을 고려한 정서수준과 텃밭활동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텃밭활동 여건과 학교폭력 관련 정도에 따라 대구, 수원, 서울 등 3개 지역 4개 학교(일반학교 2, 학업중단 및 학교폭력 관련 특수학교 2)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192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학생과 가정의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자본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을 고려한 정서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14개 항목으로 구성된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86으로 신뢰할 만하였다. 또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역사회 변인, 텃밭 관련 변인, 그리고 개인과 가정의 배경변인으로 구분하였다. 지역과 학교에 따라서는 대구의 특수학교 학생이 수원, 서울지역 일반학교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정서수준이 낮았고 학생에 게 관심을 보여주는 이웃여부에 따라서도 영향이 있었다. 현재 학교에서 시행하는 텃밭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집단은 현재생활에 만족하고 지역사회 자원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텃밭활동의 접근성, 텃밭활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 텃밭활동에 기대하는 내용(기대변화)도 정서적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학교폭력을 경험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서 수준이 낮았다. 외롭고 힘든 일에 대한 대처방법, 현재의 고민, 부모(보호자)의 직업, 학교방문이나 자원봉사활동 참여 등이 정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성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사회적 자본 관련 변인이 정서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텃밭관련 변인들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학교와 가정과 상호 협력하여 지원할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도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앞으로 중학생의 여건과 행동반경을 고려하여 지원할 수 있는 텃밭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gardening activities and emotional stability with social capital to support middle school students’ quality of life in communities without school bullying.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from students at four schools in three areas based on gardening activities and the relevance of school bullying. The sample comprised 192 cas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1.0.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capital were measured by 14 items adop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Cronbach's alpha of .86 was an acceptable reliability. The results found that emotional stability with social capital by area was higher for students in Seoul (which has active gardening) than for students in other areas. The major factors were: neighbors who pay attention to students, a school gardening program, accessibility of a local garde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gardening, expectations of a gardening program, experience of school bullying, management of difficulties, current anguish or trouble, occupations of parents or guardian, amount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school concerns, volunteer activities, and so on. In conclusion, factors regarding gardening programs and social capital were important to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The results c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middle school students’ lives and developing supportive community gardening programs for students.

저자
  • Gyungmee Gim(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김경미 Corresponding author
  • Sunjin Jeong(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정순진
  • Sangmi Lee(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이상미
  • Seonhee Jeong(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정선희
  • Jihye Moon(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문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