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Comparative Survey of Opticians’ Awareness on the Health Care Privatization and the Permission of Corporal Optical Shop KCI 등재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8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이 설문 연구의 목적은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 정책에 대한 안경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 이었다.
방 법: 2014년 6월부터 8월까지 서울 지역에서 근무하는 임상안경사 100명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 조사 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자 가운데 안경원 원장이 48명이고 고용 안경사가 52명이었다.
결 과: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 문제에 대한 인식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반대 의견이 매우 많았다. 안경사들은 의료민영화 문제에 대해서는 의료서비스의 소비자로서 반응하고, 안경원 법인화 문제에 대해서 는 공급자로서 반응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안경원 법인화 문제에 대해서 고용 안경사 집단에 비해 안경원 원 장 집단이 더 강한 반대 의견과 비관적인 예상을 보였다.
결 론: 안경사들은 의료민영화 문제가 어느 정도 안경원 법인화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 나, 그 영향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의료서비스의 소비자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고용 안경사들에 비해 안경원 원장들이 안경원 법인화에 더 비관적이고 강하게 반대하고 있었다.

Purpose: An aim of this survey study was to investigate opticians' awareness of the health care privatization policy and the permission of corporal optical shops.
Methods: We did a survey for 100 clinical opticians in Seoul by face-to-face questionnaire from June to August 2014. 48 of the correspondents were owners of optical shops and 52 of the correspondents were employed opticians.
Results: The correspondents had high awareness of the health care privatization and the permission of corporal optical shops, and a lot of them had opposite opinions. The opticians reacted as consumers of medical services on the health care privatization, while they reacted as suppliers on the permission of corporal optical shops. On the corporal optical shops, owners of optical shops group had stronger opposition and more negative prospect than employed opticians group.
Conclusions: The opticians group thought the health care privatization were somewhat related to the permission of corporal optical shops, but they took a stance of consumers of medical services, similarly to the general public. Owners group was more opposite and more negative on the corporal optical shops than employed opticians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Su-Sie Kang(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서울) | 강수지
  • Do-Min Lee(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과학과,서울) | 이도민
  • Dal-Young Kim(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서울) | 김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