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의류 패션산업에서 순한글과 외래어 용어에 대한 감성비교 KCI 등재

Emotion and Sensibility Comparison between Loanword and Hangul Label in Fashion Indus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패션산업에서 상품라벨과 패션용어의 형태, 즉 한글과 외래어, 외국어 등 표기 종류에 따라 소비자 의 감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한 것이다. 20대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패션아이템 1종에 대한 라벨 1종과 3종 패션용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외래어 영어표기, 외래어 한글표기, 순한글표기 등 3 가지 형태에 대해 15개 형용사로 구성된 감성 척도를 이용하여 감성을 측정하였고 또한 선호도와 상품에 대한 예상가격을 질문하였다. 결과로는 소비자들은 라벨에서 한글보다 외래어를 선호하였으며 외래어 라벨 중에서도 한글표기보다 영어표기를 선호하였다. 외래어 라벨을 볼 때 소비자들은 패션 제품이 더 ‘긍정적이고 세련되고 화 려하며 우아하다’고 평가하고 있었으며 또 상품의 가격을 더 높은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외래어 영어표기 라벨이 모든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외래어 한글표기가 다음 순이었으며, 순한글 라벨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소비자들은 자신의 유행 몰입도에 따라서 감성 평가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행 몰입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낮은 소비자보다 외래어를 볼때 ‘세련된 우아한 화려한’ 등에 대해서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유행몰입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낮은 소비자보다 순한글표기 라벨을 볼 때 ‘친근한, 안정된’ 등에 대해서 더 높게 또는 외래어와 유사하게 평가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 and sensibility of fashion words in terms of words types, such as loanword and Korean words, Hangul in fashion product label and fashion manufacturing industry. We surveyed 200 persons in their 20s using the questionnaire on the stimulus of product tag label and fashion words with 15 adjectives. Based on daily usage of foreign words in fashion market, we selected 1 item label in 3 forms: 1) Hangul label written in loan words 2) Label written in English and 3) Label written in Hangul and 3 fashion words in 2 forms 1) loanword and 2) Hangul. And the label types and fashion words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in terms of consumer's sensibility, preferences and estimated product price. The results are following: consumers preferred loanword label than Hangul label, and they preferred loanword in English than that in Korean. They evaluated loanword more positively, such as refinement, gorgeous and elegant, etc. and estimated the product price of loanword label as higher. But in the sensibility of 'familiar' and 'stability', Hangul lab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loanword written in Hangul. That is, label written in English is the highest in all the evaluation, and loanword label written in Hangul is next, and Hangul label showed the lowest result. Consumers showed the evaluation differently between loanwords and Hangul according to their degree in fashion involvement. Consumers of high fashion involvement evaluated the sensibilities of 'refinement', 'elegant', and 'gorgeous' of loanwords as higher, whereas they had tendency to evaluate the sensibilities of 'familiar' and 'stability' of Hangul as higher or simila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패션용어
  2.2. 소비자 감성
 3. 연구 방법
  3.1. 패션관련 매체의 외래어 비율 조사
  3.2. 패션용어 수집
  3.3. 측정 도구
  3.4. 자료 수집 및 분석
 4. 연구결과
  4.1. 상품 라벨의 종류에 따른 감성
  4.2. 패션용어에 따른 감성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윤용주(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디자인학과) | Yongju Yoon
  • 나영주(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디자인학과) | Youngjoo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