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죄책감 소구 수준과 개인성향의 상호작용이 국제기아 돕기 메시지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Guilt Appeal Level and Personal Disposition on Responses to International Relief Mess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국제기아 돕기를 촉구하는 설득 메시지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죄책감 소구 수준과 공감적 개인성 향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죄책감 소구 수준은 메시지가 수용자의 죄책감을 이끌어 내는 정도의 높고 낮음을 의미한다. 공감적 성향이란 타인의 경험에 동조하거나 관심을 갖는 개인의 경향을 지칭하며 본 연구에서는 개인 적 고통과 공감적 관심이라는 하위 차원을 이용하였다. 메시지의 실험은 2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에서는 개인 성향을 측정하고 2단계에서는 죄책감 소구의 수준을 차별화한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전체 실험은 죄책감 소구 수준(2) ✕ 공감성향(2)으로 설계되었다. 그 결과, 죄책감 소구 수준은 개인적 고통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 상호작용은 주로 죄책감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 개인적 고통이 높은 개인과 낮은 개인들의 차이에 의해 발현되었다. 공감적 관심이 높은 개인들은 낮은 개인들에 비해 죄책감 수준과 상관없이 돕기 메시지에 더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active effects of guilt appeal level and empathic disposition (personal distress/empathic concern) on responses over the international relief messages. Guilt appeal level refers to the high or low degree of a message eliciting guilty feeling from the recipient. Empathic disposition is defined as personal tendency to assimilate and concern about the experience of others and we used two sub-dimensions,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two steps. At the first step, the participants rated the personal disposition measures and at the second step, they were shown one of the relief messages with different guilt level. Thus, the whole experiment was guilt appeal level × personal traits factorial design on guilty feeling,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guilt appeal level interacted with the personal distress disposition on the responses. The interaction was induced mainly from the differences of personal distress in the condition of high guilt appeal. High empathic concern individual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regardless of the appeal conditions compared to low empathic concern individuals.

목차
1. 서론
  1.1. 이론적 배경
  1.2. 문제 제기: 죄책감 수준과 공감 성향의상호 작용
 2. 연구방법
  2.1. 실험참여자
  2.2. 실험 자극물
  2.3. 실험설계
  2.4. 실험 절차
  2.5. 분석방법
 3. 연구 결과
  3.1. 변인별 신뢰도
  3.2. 연구 문제 1: 죄책감 반응에 대한 죄책감소구 수준 × 개인성향
  3.3 연구 문제 2: 메시지 효과 반응에 대한개인성향 × 죄책감 소구 수준의 상호작용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승조(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Seungjo Lee
  • 이한규(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Hankyu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