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용자의 성향 기반의 얼굴 표정을 통한 감정 인식률 향상을 위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detection in user's tenden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인간의 감정을 인식하는 기술은 많은 응용분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 인식의 어려움으로 인해 쉽게 해결 되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다. 인간의 감정 은 크게 영상과 음성을 이용하여 인식이 가능하다. 감정 인식 기술은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음성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두 가지를 모두 이용하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 중에 특히 인간의 감정을 가장 보편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이 얼굴 영상을 이용한 감정 인식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자의 환경과 이용자 적응에 따라 많은 차이와 오류를 접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내면적 성향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이에 따라 적절한 감정인식의 정확도에 도움을 주어서 감정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메카니즘을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이용자의 내면적 성향을 분석하여 감정 인식 시스템에 적용함으로 얼굴 표정에 따른 감정인식에 대한 오류를 줄이고 향상 시킬 수 있다. 특히 얼굴표정 미약한 이용자와 감정표현에 인색한 이용자에게 좀 더 향 상된 감정인식률을 제공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Despite the huge potential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the enhancement of the technologies still remains a challenge mainly due to the difficulty of recognizing emotion. Although not perfect, human emotions can be recognized through human images and sounds.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have been researched by extensive studies that include image-based recognition studies, sound-based studies, and both image and sound-based studies. Studies on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detection are especially effective as emotions are primarily expressed in human face. However, differences in user environment and their familiarity with the technologies may cause significant disparities and errors.
In order to enhance the accuracy of real-time emotion recognition, it is crucial to note a mechanism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users’ personality traits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motion recognition.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users’ personality traits and its application in the emotion recognition system to reduce errors in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detection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In particular, the study offers a practical solution to users with subtle facial expressions or low degree of emotion expression by providing an enhanced emotion recognition function.

저자
  • 이종식(성균관대학교 인터렉션 사이언스학과) | Jong-Sik Lee
  • 신동희(성균관대학교 인터렉션 사이언스학과) | Dong-Hee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