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품 카드를 이용한 이야기 구성 감상 수업 KCI 등재

Story Construction Appreciation Teaching through Art Car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65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작품 카드를 이용한 이야기 구성 감상 수업’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감상 수업에 서는 인간의 삶에 관련된 작품 카드를 감상하면서 학습자가 각각의 작품에 맞게 각각의 이야 기를 만들고 전체 줄거리를 구성하며 감상이 이루어지는 형식이다. 감상 카드의 구성은 총 22 개로 구성되며 공통 카드는 14개이며, 나머지는 성별과 학년 군별로 구성하였다. 성별은 남자 와 여자, 학년 군별 구분은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구분하였다. 성별로 구분된 작품은 각각 1개 로 총 2개이다. 또한 학년 군별로 구분된 작품은 각각 3개로 총 6개이다. 이들 작품 카드 중에 서 감상자의 발달적 특성과 성별 특성에 따라 공통 카드 14개의 공통 카드 중에서 감상자가 임의로 7개를 선택하고 성별 카드에서 1개를 선택하며, 마지막으로 학년 군별 카드에서 2개를 선택하여 총 10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모형을 통한 감상 모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본 연구의 감상 모형에서 교수자 중심 감상에서 학습자 중심 감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2) 본 연구의 감상 모형에서는 학습자가 비평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3) 본 연구의 감상 모형에서는 통하여 개인의 동기, 정서, 콤플렉스, 갈등 등의 욕구를 표현함으로써 정서를 순화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on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o properly apply art appreciation education to our school front line situation, the thorough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appreciation is needed. The background of art appreciation is aesthetics and criticism in the sense of art, and also philosophy and psychology become the background in the sense of other discipline. In addition, pedagogy becomes the background to educate appreciation. This paper comprehensively viewed not only philosophy and psychology, but aesthetics and criticism, and also presented educational appreciation by approaching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divided art appreciation into essentialism appreciation and pluralism appreciation, and comprehensively viewed art appreciation in terms of aesthetics, criticism, philosophy, psychology and pedagogy, which become the factors and background of art appreciation. Based on all these, this paper presented the direction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line with our modern culture and educational trend. Such an examination can be helpful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reason is that art appreciation is vaguely used in our educational front line, and is used without giving deep thought on what historic,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education backgrounds are. Also, art appreciation is used without knowing the direction of art appreciation that our society requires in many cases.

목차
Ⅰ. 서 론
 Ⅱ. 작품 카드의 형식과 내용
  1. 형식 구성
  2. 내용 구성 및 주제
 Ⅲ. 감상의 교수학습 방법
  1. 감상 작품 선택
  2. 감상의 교수‧학습 방법
 Ⅳ. 결 론
 References
 <부록>
저자
  • 이화식(단국대학교) | Lee Hwa-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