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using the text mining techniqu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006
  • DOIhttps://doi.org/10.14328/MES.2016.6.30.2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최근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되, 특정 소수 집단의 동화 혹은 사회적응에 제한되지 않은 다문화주의 담론 형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 화 미술교육 연구의 동향을 보다 객관적이고 통계적인 기반에서 탐구하고자 2000~2015년 에 발표된 학술지 및 박사 학위 논문 80편 가운데 68편을 분석 대상으로 그간의 연구에서 사용된 키워드를 도출하고 키워드 간의 상관관계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 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 미술교육의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의 다문화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고 반영하는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 서 다원화되는 한국 사회에서 당면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과제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과 이에 대한 미술 교육적 해법을 찾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문 화 미술교육 연구에서 다루어 온 주제들은 유아교육과 고등교육을 포괄하는 폭넓은 학교급 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다. 한국의 다문화 미술교육 담론에서 다루어야 하는 핵심적인 주 제들에 대한 논의보다는 학교 안에서 어떻게 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을 반영하고 교육과정 을 개편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에 대응하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핵심과 미술의 가치 대한 보다 근원적인 논의와 개념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지난 16년간의 한국 다문화 미술교육 연구를 되돌아보고 그 흐름을 조망하여 향후 연구주제 설정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 를 가진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for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ism to reflect on the Korean sit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out the notion of assimilating specific minority groups.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n overview on how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has evolved and drawn on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to take on a more objective and statistical approach to the meta analysis of literature, this study uses the text mining technique,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which provide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visualizing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appeared in research articles over time. The total number of 80 articl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throughout 2000~201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in two aspects. First, the keywords with high correlations show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underlying circumstances regarding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s. Second, it is time to re-conceptualiz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issues confronting Korean society. Future research should be geared more towards the inquiry of the primary concepts and values of art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will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establish the ground on which future research agendas can be develop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 미술교육 연구의 전개
  2. 문헌 분석과 빅테이터의 활용
 Ⅲ.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 방법 및 단계
 Ⅳ. 연구 결과
  1. 핵심 키워드와 동시 출현하는 용어의 변화 추이
  2.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김선아(한양대학교) | Sunah Kim Corresponding author
  • 박진희(한양대학교) | Jinhee Park
  • 이현정(한양대학교) | Hyeonjeong Lee
  • 정유진(한양대학교) | Yujin Ch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