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Hirst의 ‘사회적 실제’ 개념에 대한 해석적 문제와 교육과정적 함의 탐색 KCI 등재

An Interpretive Problems and Search for Curricular Implications about the Concept of Hirst's Social Pract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초록

1990년대 이후 Hirst는 자신의 지식의 형식 이론에 대한 입장을 바꿔 ‘사회적 실제에 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을 제안하면서, 여기에 대해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Hirst의 사회적 실제란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면서 사회적으로 확립된 체계적인 인간 활 동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Hirst의 사회적 실제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것이 어떻게 해서 등장했는지, 그것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Hirst의 사회적 실제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고 사회적 실제 개념이 어떤 특성을 지 니는 지를 밝혀 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사회적 실제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Hirst 의 사회적 실제 교육관의 문제점과 오해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실제 교육관 이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의 방향과 교육과정 개정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알아 본다.

After 1990, Hirst shifted his ground on the forms of knowledge and suggested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Social Practices’. So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bout social practices. Roughly speaking,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s that Hirst has made is defined as human activities that is organized, established socially and meeting certain criteria. But it is uncertain what social practices mean specifically, how Hirst arrived at the concept, and what characteristic it ha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make clear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the concept and find out characteristic of the concept. And then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s critically and points out several problems or misunderstandings that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 has from an educational viewpoint. Finally, this study explores what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Social Practices’ means for futur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revision of national mandat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적 실제’ 개념의 등장 배경
 Ⅲ. ‘사회적 실제’ 개념의 특성
 Ⅳ. ‘사회적 실제’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적 논의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무정(대구상인초등학교) | Moo-Jeong Kim
  • 정수경(대구금계초등학교) | Su-Kyeong 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