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KCI 등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4권 제2호 (2016년 8월) 6

1.
2016.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교와 학교 밖의 공간에 내재된 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아존중감, 그 리고 개인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자서전적 방법과 생애사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자신 이 겪은 에피소드를 내러티브로 구체화하면서 학교와 교회, 그리고 일터에서의 자아가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시공간의 변화 속에서 관계의 양상을 분석하여 연 구자의 경험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생애기술은 ‘공간 #1. 가정과 학교: 낮은 자존감과 무기력한 시절을 보낸 곳’, ‘공간 #2. 집 앞의 교회: 가정과 학교 경험의 연장선’, ‘공간 #3. 새로운 교회, 공간’ ‘#4. 다시 학교로: 갈등과 통합’, ‘공간 #5. 일터: 내면적, 외면적 성장’으로 공간의 변화에 따라 구 성되었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무기력 했던 어린 시절, 청소년기에 맞이한 새로운 공 간에서의 경험을 성찰하고 삶을 살아가는 태도 변화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또한 인정, 소속감, 봉사정신을 학교와 일터에서 통합하기 위하여 결정한 진학과 진로, 그리고 이 과정에서 겪은 현실의 갈등을 기술하였다.
2.
2016.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공계 분야에서 인문학적 소양을 접목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인문 예술적 성향을 가졌음에도 이공계 분야로 진학할 수밖에 없었던 공학도의 삶 속에 서 나타나는 진학 동기를 살펴보고 진로 모색 과정과 학업 병행에 관한 경험을 질적으 로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현웅)를 대상으로 2009년 12월부터 2010년 10월 사이에 실시한 네 번의 심층면담과 2016년 8월에 실시한 후속 면담을 질적으로 분 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어머니를 봉양해야 하는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기계공학과 에 진학하게 되었으며, 그 이후에 직장 경력을 거치면서 점차 컴퓨터 분야에서 학업과 직업을 동시에 추구하는 진로 탐색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 과정에서 그는 학문을 통해 자신의 삶을 조망하는 패턴과 가족 부양에 따른 그만의 진로 모색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연구자는 인문 예술적 소양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작업과의 연계성, 진로모색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그리고 사회문화적 맥락과의 관련성으로 나누어 질 적 사례를 묘사하였다.
3.
2016.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0년대 이후 Hirst는 자신의 지식의 형식 이론에 대한 입장을 바꿔 ‘사회적 실제에 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을 제안하면서, 여기에 대해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Hirst의 사회적 실제란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면서 사회적으로 확립된 체계적인 인간 활 동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Hirst의 사회적 실제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것이 어떻게 해서 등장했는지, 그것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Hirst의 사회적 실제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고 사회적 실제 개념이 어떤 특성을 지 니는 지를 밝혀 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사회적 실제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Hirst 의 사회적 실제 교육관의 문제점과 오해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실제 교육관 이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의 방향과 교육과정 개정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알아 본다.
4.
2016.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학생들의 영속적인 이해를 촉진시켜 교과를 내면화하는 방안으로 백워드 설계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식 에 주목하고 백워드 설계에서 내러티브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 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들의 관 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과, 내러티브는 의미를 구성하는 사고방식이며 학생의 경험을 구조화하며 해석하는 인식의 틀로 작용한다. 결국, 학습은 내러티브를 통해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 이었다. 백워드 설계는 학생들이 지식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 추론하여 이해에 도달 하도록 하는 설계 방식이므로 학생이 의미를 구성한다는 측면에서 관련된다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백워드 설계의 수행과제 개발과 학습경험 계획하기 과정에 서 내러티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5.
2016.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편입학을 경험한 두 대학생이 살아낸 그들 삶의 이야기를 ‘교육 전환의 여 정’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편입학 경험이 그들이 살아낸 ‘전환의 여정’ 이 야기(stories to live by in their transition journey)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가 연구의 퍼즐이었으며, ‘4 S 시스템’(Schlossberg, 1984)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연구의 결과는 다 음과 같다. Situation: 경제적 어려움과 학벌주의, 취업은 참여자의 전환 경험 형성에서 가장 두드러진 상황 요인이었다. Self: 참여자가 살아내는 이야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과 확신이었다. Support: 전환 경험 구성에 있어 드러나는 지원 요소는 가족, 친구, 만남의 인연 등 다양하지만, 가장 돋보였던 지원 요소는 현수의 경우 ‘자신감의 고양’, 만수의 경우 자기 성찰에서 비롯된 ‘자신감과 주체 의식의 성장’이라는 ‘자기-지원(self-support)’요소였다. Strategies: 전환 경험 형성에서 작동했던 전략은 현수의 경우 ‘자기 가치의 적용’으로, 만수의 경우 ‘지속적인 자기 성찰’ 로 해석될 수 있다.
6.
2016.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의 인지적 성격에서 미술교육의 가치와 필요성을 규명하고, 미 술교육의 정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더 나은 교육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자전적 교수경험에 초점을 두고, Eisner에 의해 창안된 미학적 탐구(aesthetic inquiry)를 활용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Eisner의 미학 적 탐구와 기존의 미학적 탐구를 비교하여 Eisner의 미학적 탐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방법적으로 재구성하였다. 둘째, 재구성된 미학적 탐구의 절차에 따라 연구자의 자전적 교수경험을 기술, 해석, 평가, 주제화하였다. 연구 결과, 미학적 탐구가 교수 상황의 질에 주목하여 자각하게 하고, 미술을 통한 학생들의 사고 확장에 기여할 뿐 아니라, 학생들이 보이는 작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연구자의 성장 과 발전에 기여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