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KCI 등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3권 제3호 (2015년 12월) 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1.
201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많은 내러티브 연구들의 관심은 정체성의 이야기에 관한 이해로 집약된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야기의 주체로서 정체성을 방법론적 개인주의가 아닌 방법론적 상황주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어떤 새로운 이해를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론적 상황주의는 상징적 상호작용으로부터 시작하여 민속방법론 등에 이르기까지 미시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연구 장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 가운데 민속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방법론적 상황주의에 입각해서 이야기 주체로서의 개인의 정체성과 그 일상적 구성성에 관해 되짚어 보고자 한다. 민속방법론은 상식과 실제적 행위가 어떻게 일상의 생활세계를 구성하는지에 관심을 둔 연구영역이다. 방법론적 상황주의는 이야기의 주체로서 개인의 정체성 그리고 그 구성의 디테일한 과정에 관해 새로운 이해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본다.
2.
201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술과 미술교육의 진정한 가치를 찾고자하는 연구자의 고민이 형성되어 온 과정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연구자가 발견한 미술활동의 인지적 측면을 통해 연구자가 추구하는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의 미술교육 사상을 구체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기초 예비 연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자전적 경험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미술을 배운 경험으로 미술 학도로서의 관점, 둘째 사회에 나가 전문가로 작가 활동한 미술가로서의 관점, 셋째 미술을 가르친 경험으로 미술교육자로서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각기 다른 관점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연구자의 미술교육에 대한 관점과 태도를 규명하고 미술교육의 가치를 탐색한다.
3.
201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는 생활주제에 적합한 동화, 동시, 동요를 찾아 유아들에게 소개하고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동시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가장 좋은 문학 장르이다. 따라서 동시는 유아들의 감성과 상상력을 고무시키고 전인적인 성장을 돕는 교육매개가 된다. 유아들은 문학작품 속에서 꿈, 이상, 바람 등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다. 또한 좋은 문학작품은 유아들에게 밝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길러 준다. 그러나 유아들은 이러한 동시의 음률에 즐거워하면서도 흥미를 경험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동시학습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누리과정을 재구성 하고자 한다. 유아들은 동시 등 문학작품 학습을 통해 다양한 인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 유아들은 그러한 문제를 유아 자신의 일상의 삶과 관련시켜 학습하게 되면서 현실 생활에 대해 다른 태도를 보이고 정신적 성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관심가질 수 있는 동시를 스토리텔링 방법으로 재구성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자는 유아들이 동시를 이용하여 감성을 율동 등 신체로 표현하게 하고, 동시를 다양한 방법으로 읊어보기, 동시 짝꿍놀이, 동시 골든벨, 동시 게임, 동시 표상하기 등의 방법으로 동시를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에 있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동시 학습은 유아교육에 매력적인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동시를 더욱 풍부하게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이 동시를 감상하는 바른 태도가 길러졌고, 가족구성원과의 정서적 유대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