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와 학교 밖에서의 경험에 관한 자서적적 생애사 연구 KCI 등재

The Autobiographical Life History Research on the Experiences in and out of the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3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초록

이 연구는 학교와 학교 밖의 공간에 내재된 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아존중감, 그 리고 개인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자서전적 방법과 생애사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자신 이 겪은 에피소드를 내러티브로 구체화하면서 학교와 교회, 그리고 일터에서의 자아가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시공간의 변화 속에서 관계의 양상을 분석하여 연 구자의 경험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생애기술은 ‘공간 #1. 가정과 학교: 낮은 자존감과 무기력한 시절을 보낸 곳’, ‘공간 #2. 집 앞의 교회: 가정과 학교 경험의 연장선’, ‘공간 #3. 새로운 교회, 공간’ ‘#4. 다시 학교로: 갈등과 통합’, ‘공간 #5. 일터: 내면적, 외면적 성장’으로 공간의 변화에 따라 구 성되었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무기력 했던 어린 시절, 청소년기에 맞이한 새로운 공 간에서의 경험을 성찰하고 삶을 살아가는 태도 변화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또한 인정, 소속감, 봉사정신을 학교와 일터에서 통합하기 위하여 결정한 진학과 진로, 그리고 이 과정에서 겪은 현실의 갈등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on how experiences out of school effects on the growth of adolesce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research method both from autobiography and life history. The researcher described his narrative by structuring episod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especially focusing on the school, the church, and the workplace. By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relationship researcher's experience was comprehensively presented.
Life history on the study was constructed below: ‘Space #1. home and school with low self-esteem’, ‘Space #2. church: an extension of home and school experiences’, ‘Space #3. the new church’, ‘Space #4. Back to the school: conflict and integration’, and ‘Space #5. Workplace: inward and outward growth’.
Through describing the experience from childhood he showed the process of changing recognition to his life and understan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Additionally, he suggested how he had connected the sense of belonging and spirit of service into the school life and workplace as well as described the conflict between the realities and experienced in the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자서전적 생애사 연구
  2. 연구대상자
  3. 자료수집 및 분석
 Ⅲ. 생애 기술
  1. 공간 #1 – 가정과 학교: 낮은 자존감과 무기력한 시절을 보낸 곳
  2. 공간 #2 – 집 앞의 교회: 가정과 학교 경험의 연장선
  3. 공간 #3 – 새로운 교회
  4. 공간 #4 – 다시 학교로: 갈등과 통합
  5. 공간 #5 – 일터: 내면적, 외면적 성장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주현(한국외국어대학교) | Joo-Hyeon Kim
  • 김사훈(한국외국어대학교) | Sa-Hoon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