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제나사렛교단 아시아태평양지구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 탐구 KCI 등재

Exploring a New Leadership Paradigm Contributive to Creating the Growth Momentum of the Asia-Pacific Region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639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6.3.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2015년 12월 14일부터 18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국제나사렛 교단 아시아태평양지구(이하 아태지구)의 싱크탱크 모임이 최초로 개최 되었다. 당시 제기되었던 주요 이슈 중 하나가 아태지구에서의 리더십 위기였다. 즉, 일부 연회(district)에서 토착적 리더십으로의 위임 및 이양이 원만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연회에서 피라미드 모델(Pyramid Model)에 근거한 전근대적 권위주의 리더십이 만연하고 있다는 상황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중적 리더십 위기는 아태지구의 성장동력을 저해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 위기를 극복할 대안으로 성서적 충실성(biblical authenticity)과 현대적 적합성 (contemporary relevancy)을 겸비한 트리 모델(Tree Model)을 새로 운 리더십 패러다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리더와 팔로워(follower)의 관계가 수직적 상명하복인 전통적 피라 미드 모델과는 달리 트리 모델은 양자 간의 유기적 상호의존성과 수평적 파트너십을 전제하고 있는데, 이런 관점은 현대 리더십 이론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또한 군림과 권한독점 대신에 섬김(servanthood)과 권한부 여(empowerment)가 트리 모델에 본유적으로 내재하고 있는데, 이런 특징은 성서적 리더십 원리와 잘 부합된다. 이처럼 현대적 적합성과 성서적 충실성을 지닌 트리 모델을 통해 리더십에 관한 인식론적 전환이 아태지구에 확산되면 현재의 리더십 위기 상황이 극복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리 모델의 권한부여적 속성은 토착적 리더십으로의 위임 및 이양에, 섬김과 파트너십의 수평적 특성은 전근대 적 권위주의 리더십 타파에 각각 기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아태지구의 성장 동력이 창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sia-Pacific Regional Think Tank meeting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was held in Manila over the period 14-18 December 2015. One major issue critically raised at the meeting was leadership crisis in the AP Region. First, there is leadership vacuum from missionaries to indigenous believers. In some of the so-called missionary districts the transition from missionary to indigenous leadership either fails with no replacement or occurs without proper preparations for new leadership. In addition, there is leadership anachronism lagging behind the predominant spirit of the current age. In many parts of the AP Region traditional or modern leadership styles reflective of authoritarian or bureaucratic hierarchy prevail in the emerging context of de-centralized postmodernism. All of which significantly hinders growth momentum in the AP Region.
This research explores a new leadership paradigm called ‘the Tree Model’ that can help the AP Region overcome its current leadership crisis. The Tree Model has contemporary relevance enough to embrace the postmodern approach to leadership by emphasizing i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ter-influential processes in organic holism. Most importantly, the Tree Model secures biblical authenticity enough to endorse empowering servant leadership. The AP Region can seek effective solutions to dealing with its leadership crisis by adopting the Tree Model as an umbrella paradigm. That is, the Tree Model’s empowering aspect can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of leadership vacuum while its servant aspect to solving the problem of leadership anachronism. As a result of taking an epistemological turn in leadership, the AP Region can rekindle its growth momentum.

목차
I. Introduction: Leadership Crisis in theAP Region
 II. The Emergence of New LeadershipConcepts
 III.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Theories
 IV. Proposal of the Tree Model as a NewLeadership Paradigm
 V. Conclusion: Pedagogical Leadership inthe Tree Model
 Key Word
 한글초록
 Bibliography
저자
  • Musung Jung(Korea Nazarene University, Missiology) | 정무성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