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암모니아 용출에 의한 산화대 금 광석으로부터 Fe 제거 효율에 관한 연구 KCI 등재

The Efficiency of Fe Removal Rate from Gold Ore in the Oxidation Zone by Ammonia Leach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1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산화대 금 광석에 존재하는 적철석을 암모니아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금과 은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산화대에는 석영, 적철석, 백운모가 존재하고 있으며, 적철석은 수성기원으로 형성되었다. 다양한 변수에 대하여 암모니아 용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Fe 최대 용출 인자는 -45 μm 입도 크기, 1.0 M의 황산 농도, 5.0 g/l의 황산암모늄 농도 그리고 2.0 M의 과산화수소 농도일 때였다. 이 암모니아 용출용액으로부터 침철석이 침전-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고체-잔류물에서 Fe-제거 량이 증가할수록 Au와 Ag 회수율이 증가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recovery of gold and silver by removing hematite from gold ore of an oxidation zone with ammonia solution. Quartz, hematite and muscovite were present in the oxidation zone, while hematite was hydrogenous. As a result of performing an ammonia leaching test on variables, it is found that the maximum Fe leaching parameter was -45 μm particle size, 1.0 M sulfuric acid concentration, 5.0 g/l ammonium sulfate concentration and 2.0 M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It is also confirmed that goethite was precipitated and formed from that ammonia elution. As the amount of Fe-removal was increased in a solid-residue, the recovery of Au and Ag were increased, too.

목차
서 론
 시료 및 암모니아용출실험
  시 료
  암모니아 용출실험
 결과 및 고찰
  산화대 광석광물
  암모니아 용출실험
  입도효과
  황산농도 효과
  황산암모늄 농도 효과
  과산화수소 농도 효과
  Fe 용출 반응생성물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
  고체-잔류물에 대한 XRD
  고체-잔류물에 대한 Fe-Au-Ag 함량 변화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천영(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Cheon-Young Park Corresponding author
  • 최낙철(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Nag-Choul Choi
  • 조강희(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Kang-Hee Cho
  • 김봉주(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Bong-Ju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