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세토카 가지 정유의 성분 분석 및 생리 활성 KCI 등재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Setoka’ Branch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19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세토카 가지 정유의 주요 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항균, 항염 및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 였다. 세토카는 제주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감귤류의 품종이다. 세토카 나무의 가지는 간벌 작업으로 인해 대부분 폐기되고 있고, 이러한 폐자원의 활용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유 성분은 세토카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을 호호바오일로 처리하여 얻었다. 세토카 정유의 주요 성분은 ethyl linoleate (64.1%), ethyl palmitate (16.5%), neophytadiene (11.1%) 및 β-citronellol (5.1%)임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항균활성을 확인 하기 위하여 피부 관련 미생물에 대한 paper disc 확산법을 실시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 및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좋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염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이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세토카 정유 성분은 농도의존적 으로 NO 생성을 저해하였다. WST-1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RAW 264.7 macrophage 및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 토카 가지 정유는 세포독성이 없으면서 염증억제 및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응용한 화장품소재 로써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etoka’ branch essential oils (SEBO) and to test their biological activities. ‘Setoka’ is a Citrus species widely cultivated in Jeju Island. At the present, ‘Setoka’ branches produced by thinning process were mostly discarded as a waste. Therefore, utilization of this branch wast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Setoka’ branch essential oils (SBEO) were prepared by treatment of its ethanol extracts with jojoba oil. SBEO were chemically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GC-MS), and following components were identified; ethyl linoleate (64.14%), ethyl palmitate (16.50%), neophytadiene (11.06%) and beta-citronellol (5.09%).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e SBEO was examined using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stimulated with LPS. As a result, the SBEO inhibi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s with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SBEO showed goo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drug-susceptible and -resistant skin pathogen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and Propionibacterium acnes, which are acne-causing bacteria.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SBEO has the possibility for use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gent in cosmetic applications.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세토카 가지 정유의 추출
  2.2. 정유의 성분 분석
  2.3. 세포주 및 세포배양
  2.4. 세포독성 측정(WST-1 Assay)
  2.5. 항염증 효과 측정
  2.6. 미생물배양
  2.7.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확인
  2.8.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세토카 가지 정유 성분(SBEO)의 화학 조성
  3.2. 세토카 가지 정유(SBEO)의 Nitric Oxide (NO) 억제 활성
  3.3. 세토카 가지 정유(SBEO)의 세포독성 평가
  3.4. 세토카 가지 정유(SBEO)의 항균활성
 4. 결 론
 Reference
저자
  • 현주미(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Ju Mi Hyun
  • 김정은(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Jung Eun Kim
  • 염현숙(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Hyun Sook Yeum
  • 송정민(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Jung-Min Song
  • 김미량((주)파라제주) | Mi Ryang Kim
  • 이남호(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Nam Ho Lee 주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