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ynomolgus Monkey에 이식한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Knock out 돼지 심장에서 Thrombospondin 1 발현의 증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066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Biotechnology)
초록

돼지의 장기를 영장류에 이식할 때 단시간 내에 발생하는 초급성 면역거부반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를 제어할 수 있는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knock out (Gal-T-/-) 돼지를 생산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심장을 이식을 받은 영장류가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그 원인은 non-Gal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면역반응과 돼지와 영장류 간 분자, 생리적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체액성 거부반응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어떤 인자와 기전에 의해 이식된 장기가 손상되고 사망하게 되는지 분자 수준에 서 알아보기 위하여, 영장류에 이식한 Gal-T-/- 돼지 심장에서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 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 부모에서 태어난 Gal-T-/- 돼지의 이식에 활용하지 않은 심장 을 대조군으로 하여 cynomolous 원숭이에 이식 후 9일째 채취한 심장으로부터 총 RNA 를 추출한 후 Sequencing을 통해 전 돼지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이식된 심장에서 1292개의 유전자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949개는 유의적으로 감 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에서 심근 경색 등과 같이 심장이 손상되면 발현이 증가 하는 matricellular 단백질 유전자인 tenascin C(23.7배), Tsp-1(13.9배), -2(5.8배), -4(6.6 배), SPARC(3.6)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혈관에서 혈액 응고를 촉진 시킨다고 알려진 Tsp-1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quantitative RT-PCR 분석 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혈액응고의 중요한 조절 인자인 TF의 발현이 증가한 반면 억제 인자인 TFPI와 TBM의 발현은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식 과 정 중에 가해진 생리적 또는 물리적 손상 및 원숭이 혈액의 재관류 자극에 의해 심장의 기능 마커 유전자가 지속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예측된다.

저자
  • 이해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전라북도 완주군 55365)
  • 한지연(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전라북도 완주군 55365)
  • 변승준(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전라북도 완주군 55365)
  • 옥선아(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전라북도 완주군 55365)
  • 황성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전라북도 완주군 55365)
  • 이풍연(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전라북도 완주군 55365)
  • 임기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전라북도 완주군 55365)
  • 윤익진(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서울시 광진구 05030)
  • 오건봉(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전라북도 완주군 55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