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Holstein 경산우의 분만간격과 비유곡선모수와의 상관관계 KCI 등재

Correlation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Lactation Curve Parameters in Korean Holstein Cow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2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분만간격과 비유곡선 모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 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로부터 조사한 착유기록 36,505개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이용된 착유기록은 모두 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분만한 경산우 로부터 조사하였다. 비유곡선 모수는 Wood 모형을 적용하여, SAS 9.2 NLIN Procedure를 이용해 추 정하였다. 분만년도-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효과와 산차(2, 3, 4산차)의 효과를 고정효과로 한 다 형질 일반선형모형으로 SAS(GLM procedure)를 이용하였다. 분만간격, 305일 유량, 비유곡선모수(A, b, c), 비유지속성, Peak 일시 및 Peak기 유량에 대해 분만년도-계절과 산차의 효과는 모두 유의적 으로 나타났다(p<0.05). Wood 모형으로 추정한 비유곡선 함수는 2, 3 및 4산차에 대해 각각 yt = 24.66t0-175e-0.00302t, yt = 24.69t0-192e-0.00334t 및 yt = 24.22t0.200e-0.00341t으로 추정되었다. 분만간격과 305일 유량, 모수값 A, b, c, 비유지속성, Peak 일시 및 Peak기 유량과의 표현형상관(잔차상관)은 각 각 0.093, -0.014, 0.028, -0.046, 0.099, 0.085 및 0.052으로 나타났다. 분만간격이 길어지면 비유 곡선의 상향경사도, 비유지속성, Peak 일시, Peak기 유량은 증가하고, 비유곡선의 하향경사도는 감소 하여, 305일 유량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phenotypic relationships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lactation curve parameters in Korean Holstein cow. The data of 36,505 lactation records was obtained from the Dairy Herd Improvement program run by Dairy Cattle Improvemnet Center of National Agricultural Federation of Korea. All lactation records were collectied from the multiparous cows calving between 2011 to 2013. The estimated lactation curves were drawn using Wood model based on actual milk yield records, and NLIN Procedure of SAS program (ver. 9.2). General linear multivariate models for calving interval, 305-d milk yield, lactation parameters(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included fixed effects of calving year-season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and parity(2, 3 and 4). For calving interval, 305-d milk yield, lactation parameters(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all two fixed effect(calving year-season, parity) were significant(p<0.05). The estimated lactation functions using Wood model for 2, 3, and 4 parity were yt = 24.66t0-175e-0.00302t, yt = 24.69t0-192e-0.00334t, and yt = 24.22t0.200e-0.00341t,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 (partial residual correlation)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305-d milk yield, 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were 0.093, -0.014, 0.028, -0.046, 0.099, 0.085, and 0.052, respectively. To conclude, if calving interval increase then ascent to peak,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are increase, and descent after peak is decrease. So, total 305-d milk yield is increase.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2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일일 평균 산유량
  2 각 형질들의 단순 통계량
  3 분만년도-계절 및 산차의 고정효과 유의성 검정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원정일(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Jeong Il Won
  • 당창권(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Chang Gwon Dang
  • 임석기(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eok Ki Im
  • 임현주(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Hyun Joo Lim
  • 윤호백(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Ho Baek Y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