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자 모양 용기에서의 역전된 신장 효과 KCI 등재

Reversed Elongation Effect on Box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3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기존 연구들에서는 사람들이 길고 가는 원통형 용기의 부피를 짧고 넓은 원통형 용기의 부피보다 크다고 지각한다 는 점을 밝혀왔다(예, Raghubir & Krishna, 1999; Wansink & Van Ittersum, 2003).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장 효과 가 상자형 용기에서는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을 밝히었다. 가설은 상자형 용기의 행동 유도성으로부터 도출되었다. 두 개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짧고 넓은 사각 상자 용기의 부피가 길고 가는 사각 상자 용기의 부피보다 더 크다고 지각하였다. 이 효과는 자극의 제시 방법(그림, 연구 1; 실제 모형, 연구 2)이나 선택지 유형(둘 중 큰 것을 고르는 선택지, 연구 1; 둘 중 큰 것을 고르거나 같은 경우를 고르는 선택지, 연구 2)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참가자 집단(미국인 참가자, 연구 1; 한국인 참가자, 연구 2)에서 동일한 효과가 나타 났으며, 용기 안의 내용물이 물(연구 1)인 경우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액체 음료(연구 2)라고 설정했을 때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함의가 논의되었다.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people perceive the larger volume for tall and lean cylindrical containers over short and wide containers of the same volume (e.g., Raghubir & Krishna, 1999; Wansink & Van Ittersum, 2003). The present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is elongation effect is reversed for boxes, presumably due to the affordance of the boxes. Two studies showed that participants judge short and wide boxes as having larger volume than long and lean boxes of the same volume. This effect replicated through two types of presentation formats (drawing, Study1; actual object, Study2) when the choice between two boxes was forced (Study 1) and not (Study 2). The results also replicated among participants residing in the U.S. (Study 1) and participants residing in Korea (Study 2). The reversed elongation effect held for liquid materials in general (water, Study 1; drinks, Study 2).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1. 서론
  1.1. 부피 지각과 관련된 기존 연구
  1.2. 신장 효과를 다룬 기존 연구 및 한계점
  1.3. 본 연구에서 예상되는 매커니즘: 행동 유도성
  1.4. 본 연구: 상자형 용기를 사용
 2. 실험 방법 및 결과
  2.1. 연구 1: 상자형 용기 그림 (내용물: 물)
  2.2. 연구 2: 상자형 용기 모형 (내용물: 음료)
 3. 논의
 REFERENCES
저자
  • 김동은(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Dong Eun Kim
  • 송현진(애리조나 주립대학교 휴먼시스템공학과) | Hyun Jin Song
  • 손영우(애리조나 주립대학교 휴먼시스템공학과) | Young Woo Soh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