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근접성과 자기 점검이 사용자의 긍정적 감정과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소셜 인터랙티브 비디오 플랫폼을 중심으로 KCI 등재

Impact of Immediacy and Self-Monitoring on Positive Emotion and Sense of Community of User: Focusing on Social Interactive Video Platfor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3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비디오 플랫폼 환경에서 동영상 기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와 타인 들 간의 관계가 사용자의 긍정적 감정과 사회적 소속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해당 연구에서는 사 회 충격 이론(Social Impact Theory)과 자기 점검 이론(Self-Monitoring Theory)이라는 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동영상 기반의 새로운 상호작용 수단을 활용한 대안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동영상 기반의 소셜 비디오 플랫폼 환경을 구축 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동영상을 보는 환경에서 타인의 모습이 실시간으로 보일 때, 또는 나 자신의 얼굴이 화면에 함께 제시될 때, 그렇지 않을 때 보다 사용자는 긍정적인 감정과 사회적 소속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의 두 조건이 동시에 제공될 때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사용자들이 느끼는 긍정적 감정의 증가 폭이 더 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새로운 소셜 비디오 플랫폼의 형태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research, through video-based communication in a social video platform environment, studied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video-watching subject and other watchers to that of the user's positive emotion and sense of community. Based on prior psychological theories called Social Impact Theory and Self-Monitoring Theory, the research built an actual video-based social video platform environment in order to verify an alternative utilizing new means of interaction based on videos. The result shows that under video-watching settings, user feels greater positive emotion and sense of community when the screen shows other people's reaction live and when him or her self'’s face is shown together, compared to when they are not shown. Also, based on the ANOVA analysis, the percentage of increase in positive emotion was greater when the two conditions mentioned above were provided synchronously compared to when they were not.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expected to yield insights about a new form of social video platfor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도출
  2.1. 사회 충격 이론(Social Impact Theory)의근접성(Immediacy)
  2.2. 자기 점검(Self-Monitoring)
  2.3. 연구 가설 도출
 3. 연구 방법
  3.1. 실험 참가자
  3.2. 실험 환경
  3.3. 실험 설계
  3.4. 실험 절차
 4. 실험결과
  4.1. 조작 검증
  4.2. 긍정적 감정
  4.3. 소속감
 5. 논의
 REFERENCES
저자
  • 김현영(연세대학교 HCI Lab) | Hyun Young Kim
  • 김보명(연세대학교 HCI Lab) | Bomyeong Kim
  • 김진욱(연세대학교 HCI Lab) | Jinwook Kim
  • 신현식(연세대학교 HCI Lab) | Hyunsik Shin
  • 김진우(연세대학교 HCI Lab) | Jinwoo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