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반도 발견 오대·송 월요청자에 대한 일고찰 KCI 등재

Study on the Yue Kiln Celadon of the Wu and Song Era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3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고려청자 발생의 직접적인 관련성 때문에 당대 월요청자 비색자인 옥벽저완(yubidiwan)은 학계의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지만 옥환저완(yuhuandiwan)을 비롯한 오대부터 북송시대 월요청자의 유 입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중국 각 지역 유적지에서 발견되는 월요청자의 현 황과 유통경로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한반도에서는 오대·송 시기의 최상급 월요청자는 후삼국시대 신라 의 수도였던 경주와 후백제 지역, 그리고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 주변 의 유적 및 왕릉, 그리고 사찰 및 생활유적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이 러한 사실은 당시의 최상류층에서 유행했던 월요청자의 소비패턴의 흐름을 통해 확인된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옥환저완, 대접, 발, 항아리, 잔, 잔탁, 주자, 타호 등의 수준은 오대·송 집권층과 요 정권에 공납되 었던 월요청자에 버금간다.
발견되는 유적의 성격과 기종별로 보면 고급기종인 항아리, 盞托, 注子, 唾壺등은 개성일대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으며, 옥환저완의 경 우 주로 경주 일대와 서해에 근접한 지역의 사찰을 중심으로 발견되 고 있어 불교적인 교류를 통해 오월과 직접적인 루트를 통해 들어왔 을 가능성이 크다. 즉 한반도에서 발견된 오대·송의 월요 비색자의 유 입경로는 정권 간의 외교적 상징이자 불교문화의 매개체로써 하사품 혹은 선물로 전해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고려에서 이미 자체적 으로 청자를 제작하고 있던 상황에서도 최고 수준의 월요청자가 고려 의 수도였던 개성일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월요청 자가 지속적으로 사랑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Yubidiwan, the Miseci porcelain of the Yue Kiln of Tang Dynasty, has always been at the center of academic attention due to its direct relevance to the origin of Goryeo celadon. On the other hand, the introduction of Yuhuandiwan and other Yue Kiln celadon of the period from Wu Dynasty to North Song Dynasty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is book first reviews the current status and the distribution channels of the Yue Kiln celadon found in different sites in China.
On the Korean peninsula, the upscale Yue Kiln celadon of the Wu and Song Dynasties were found in Gyeongju,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and the Later Baekje area. They were also found in the sites, the royal tombs, and living sites around the Gaegyeong area, the capital of Goyreo Dynasty.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Yue Kiln celadon among the top class people explains well about this discovery.
The quality level of the Yuhuandiwan, bowls, jars, glasses, kettles, and Taho(唾壺) is as advanced as the Yue Kiln celadon offered to the ruling class during the Wu, Song, and Liao Dynasties.
Depending on their features and categories, the top level types including jars are found in the Gaeseong area.
As for Yuhwandiwan,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introduced through the direct exchange of Buddhist items with Wuyue given the fact that it is found mainly in the Gyeongju area and the temples in the Yellow Sea regions.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channel of the Miseci porcelain of Yue Kiln celadon of the period from Wu and Song Dynasty is the diplomatic symbol and the medium of the Buddhist culture in the form of royal gift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finest Yue Kiln celadon has been found heavily in the Gaeseong area where they produced their own Goryeo celadon, which is the implication of how popular the Yue Kiln celadon was in Goryeo for a long time.

목차
국문요약
 Ⅰ. 서 언
 Ⅱ. 공납된 월요청자
  1. 오대·송 중원에 공납된 월요청자
  2. 요(遼) 정권에 공납된 월요청자
 Ⅲ. 고려시대 오대·송 월요 청자의 유통
 Ⅳ. 월요청자의 고려 유입 경로
  1. 고려와 오대·송 중원 및 오월과의 교류
  2. 고려와 요의 교류
 Ⅴ.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김영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 Kim Young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