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종양괴사인자와 방사선이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Apoptosi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Irradiation and The Tumor Necrosis Fa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39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급성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치료의 성적이 좋지 않 을 뿐 아니라 항암요법과 병행 하였을 경우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방사선 치료를 병행함에 도 불구하고 정상세포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 여 감마선을 TNF-α와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세포 죽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 인하였다. HL-60 세포는 APL 세포주로서 사용하였고 DMSO를 처리하여 분화시킨 HL-60 세포는 정상과립 구의 성질을 나타내어 정상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TNF-α와 함께 감마선을 처리한 HL-60 세포에 서만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세포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TNF-α 는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저농도 감마선 치료 시 함께 사용하여 암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켜 암 의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효물질로 사료된다.

Acute promyelocytic leukemia(APL) is not just the poor grades of treating a type of blood cancer hayeoteul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despite concurrent radiation therapy are known to exhibit a greater effect and also works on normal cells to result in side effects. In this study, when after treatment with gamma rays, such as TNF-α in order to reduce these side effects was confirmed how affected the cell death of normal cells and cancer cells. HL-60 cells were used as the APL cell line HL-60 cells were differentiated with DMSO for treatment are shown the properties of normal granulocytes was used as a control group. As a result, HL-60 cells treated with TNF-α and gamma rays with only showed a cytotoxic effect by inducing the apoptosis cells were put to death. Consequently, TNF-α is thought to active substances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cancer treatment to increase the removal of cancer cells when used with low-density gamma-ray treatment in order to eliminate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1. Irradiation
  2. Cell processing
  3. MTT measurements
  4. Apoptosis measurements
 Ⅲ. RESULT
  1. Check cytotoxicity by Gamma
  2. Gamma irradiation at a low concentrationwithout cytotoxic substance identification toinduce apoptosis only in cancer cells
 Ⅳ. CONSIDERATION
 Ⅴ. CONCLUSION
 Reference
저자
  • 이재섭(광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Jaeseob Lee
  • 장성주(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Seongjoo J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