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성재인청류 살풀이춤의 미적 특성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9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이 연구는 경기도무형문화재제8호로 지정 된 화성재인청계열의 춤인 살풀이춤를 중심으로 화성 재인청에 대한 내용과 춤의 계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그 춤사위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여 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외형적 구조와 내면에서 표출되는 사상과 가치를 고찰하였다.「재인청(才人廳)」 이란 조선시대부터 1921년 일본에 의해서 강제로 해체되어지기까지 무당들의 반주음악을 담당하 던 무부(巫夫)들의 무속음악뿐만 아니라 그 당시 백성들을 상대로 펼쳤던 재인이나 광대들의 오 락적 예능활동을 행정적으로 관리하던 곳이다. 화성재인청 살풀이춤은 화성재인청의 마지막 예인 인 이동안에서 제1대 예능보유자인 정경파와 현재 제2대 예능보유자인 김복련으로 이어지고 있으 며 경기도지방에서만 전하는 설화를 배경으로 무복과 춤사위가 전승되어지고 있다. 다른 류의 살풀이춤과는 달리 수건 두 개를 들고 추어지기 때문에 수건에 담겨진 스토리텔링의 상징성과 동양적인 정신세계를 담아내는 철학적인 의미가 작품에 내포되어 있어 화성재인청류 살풀이춤만의 특수성을 잘 가지고 있다. 화성재인청의 살풀이춤은 수건을 들고 음악적으로 엄격한 형식을 갖추어 동작에서 나타나는 기교적 형태의 틀과 반복적인 구성으로 추어지기는 하지만 설화를 바탕으로 우리 민족의 한과 정서를 예술로 담아내어 춤꾼의 사상적 표현을 끊임없이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는 춤이기도 하다. 또한 다른 류파의 살풀이춤과는 달리 그 설화에 철저히 따르고 있으며 그것에 따른 외면적인 것과 내면적인 움직임은 살풀이춤의 기본 특성인 맺힌 한과 살을 소멸시켜 아버지를 살리고자 하는 효(孝)의 정신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위인지학(爲人 之學)이 아니라 자신의 수양을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움직임으로 나타나 경천내효(敬天乃孝) 라는 사상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genealogy of Hwaseong- Jaeincheong dances with a special focus on Hwaseong-Jaeincheong style Salpuri which is designated as the eighth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eonggi Province, and to analyze its thoughts and values represented in the external structure and interiority by considering types and characters of its movements, together with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Jaeincheong” was a government office that managed the shamanistic musics of the shaman’s accompanists and the artistic activities for a public pleasure of the entertainers,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year 1921 when it was compulsorily broken up by Japan. The Hwaseong-Jaeincheong style Salpuri was inherited from Dongan Yi who is the last master artist of Hwaseong-Jaeincheong, by the first master Gyeongpa Jeong and the second master Bokryeon Kim. Its costume and movement were handed down on the basis of the tales of Gyeonggi Province. It is performed with two silk clothes, which is a unique feature of the Hwaseong-Jaeincheong style Salpuri. It involves accordingly philosophical meanings containing a symbolism of two clothes and an Oriental mentality. Although the Hwaseong-Jaeincheong style Salpuri has a rigid musical formalities, as a work of art expressing the national emotion it also allows the dancer to express one's own mind on the grounds of the tales from the viewpoints of technical movement frameworks and iterative make-up. Moreover, it is strictly based on the tales unlike other Salpuri dances and the resulting external and internal movements represent the filial piety to save one's father by dissipating the resentment and misfortune. In sum, the Hwaseong-Jaeincheong style Salpuri is characterized by a self-discipline dance movement and connotes the ideal meaning of Kyeong-Chun-Nae-Hyo.

저자
  • 신현숙(용인대학교 무용학과 석사, 경기도무형문화재제8호 전수조교) | Shin, Hyun-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