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모시풀 수집자원의 주요형질 및 유연관계 분석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97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국내에서 수집된 모시풀 유전자원은 도입육성품종 11계통, 전남재래종 18계통, 전북재래종 7계통, 충남재래 종 10계통, 경남재래종 2계통, 경북재래종 1계통 등 49계통으로 주요 특성은 경장 121±11.4cm, 경직경 9.1±0.97mm, 유효경비율 36±12.6%, 생경중 1,814±376.9kg, 건섬유수량 35±21.8kg, 섬유비율 1.9±0.99%를 나타 내었고, 대체적으로 재래종에 비해 도입육성품종들의 생육 및 건섬유수량이 우수하였다. 주요 형질 중 섬유비 율과 건섬유수량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각 형질간 상관분석 결과 건섬유 수량과 경장, 경직경, 유효경비율, 섬유비율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결과 2개의 주성분으로 49개 수집종에 대한 6개 형질을 설명할 수 있었는데 제1, 2주성분 값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평균거리 0.8에서 4개 군으로 분류 되었다. 제 1군은 경장, 경직경, 섬유수량 등 생육이 우수한 수집종었고, 2군은 생육은 좋으나 섬유비율이 낮은 수집종이, 3군은 1군과 대조적으로 생육이 낮은 수집종이 분포하였으며, 나머지는 4군에 분포하였다. 12 URP primer를 이용하여 핵산지문분석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결과 왜모시풀과 비교해서 유사도는 0.437~ 0.928로 나타났으며, 유사도 0.57에서 6개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1~4그룹은 다른 수집종과 독립성을 보였으 며, 5그룹은 대부분 전남지역에서 수집되었고 2개의 소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5-1은 해안지대로 2군의 생육이 낮은 수집종이 주로 분포하였고 5-2는 내륙지역으로 1군의 생육이 우수한 수집종이 분포하였다. 6그룹 은 3개의 소그룹으로 분류되었는데 전남, 전북, 충남, 경북의 다양한 지역이 혼재 되어있었다. 중국이나 일본 에서 도입된 육성품종은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며 국내재래종과도 유연관계가 가까운 군에 속했다.

저자
  • 최현구(충남농업기술원) 주저자
  • 주정일(충남농업기술원)
  • 강영식(충남농업기술원)
  • 이승수(충남농업기술원)
  • 이재철(충남농업기술원)
  • 김병련(충남농업기술원)
  • 성열규(충남농업기술원)
  • 김광수(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이희봉(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산과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