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 등숙기간 중 평균기온, 일교차 및 아이소플라본 함량과의 관계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98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검정콩의 등숙기간중 기온에 따른 isoflavone 함량 변화를 구명하고자 파종기를 5월 15일, 5월30일, 6월 15일 등 3시기 파종하여 개화기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성숙기까지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Isoflavone 검출은 일품검정콩과 청자콩은 개화기후 30일 이전부터 흑청콩은 개화후 35일 이전에 생성되었다. 시험품종 모두 파종이 늦어질수록 isoflavone 함량은 높아 6월 15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다. 성숙기 의 isoflavone 함량에 기여하는 Aglycone isoflavone은 파종기에 관계없이 Genistein이 43.6~53.4% 로 가장 높았 다. Aglycone isoflavone의 함량변화는 glycitein은 분석기간중 큰 변화는 없었으나, isoflavone의 왕성하기 축적 이 이루어졌던 시기는 일품검정콩과 청자콩은 개화기후 40~65일, 흑청콩은 45~70일이었는데, 시험품종 모 두 파종이 늦어질수록 빨라졌다. Diazein과 genistein 함량 변화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후 50~55일, 청자 콩은 개화기후 45~55일, 흑청콩은 개화기후 60~65일이었는데, 이 시기 이전에는 Diadzein의 축적이 왕성하 였으나, 이후에는 genistein 축적이 왕성하였다. 평균기온과 아이스플라본 함량과의 관계식은 일품검정콩 y=2E+12X-8.529(R2=0.6502), 청자콩 y=1E+0.6x-10-6.297(R2=0.5134)이었고, 흑청콩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일 교차와 isoflavone 함량과의 관계는 시험품종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숙기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경과하면 Diadzein, 낮은 온도로 경과하면 genistein함량이 높은 콩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isoflavone 함량이 높은 콩을 생산하기 위해 서는 isoflavone 축적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인 개화기후 40일 이후에는 평균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재배하 면 유리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저자
  • 이은섭(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 주저자
  • 김희동(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
  • 윤성탁(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