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소규모 사업용 BIM을 위한 데이터 사전의 활용 KCI 등재

Application of Data Dictionary to BIM for Small and Medium Proje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2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건설 산업의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정보의 시스템화가 요구되고 있다. 정보를 시스템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정보 관리하는 기술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BIM 연구의 초점은 대형 사업장에 맞추어져 있으며 중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BIM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중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대형 사업장보다 정보 손실이 더욱 심각하지만, 투자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BIM을 도입하기에는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는 과도한 투자 없이 BIM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중소규모 사업장 대상 맞춤형 BIM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Pseudo BIM(이하, 의사BIM)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의사 BIM의 개념과 구축방법에 따라 PLIB Part 42, 건설정보분류체계 등을 활용하여 의사 BIM의 엔진 구조를 담당하는 데이터 사전 구축 방법을 제시하고 Pilot test를 실시하여 의사 BIM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he systemizatio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quired over whole life cycle of facilities to improv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industr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a technology to manage information based on 3D information model. It has been actively suggest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However, it may be currently concentrated on the large project while the small and medium project based on BIM are slightly treated in indifference.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 project, the loss of information has been occurred more seriously than large project. However, it is hard to introduce BIM to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due to the lack of investment resource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set u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project without excessive investment. In this study, pseudo BIM is defined as BIM for small and medium project. The concept of pseudo BIM has been suggested. The PLIB of ISO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MOLIT in Korea are used to construct data dictionary for pseudo BIM. A pilot test i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seudo BIM.

저자
  • 이환우(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f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Hwan Woo Lee Corresponding author
  • 이경섭(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f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Kyung Sub Lee
  • 김광양(천진엔지니어링 구조부, Structural Division Chunjin Engineering) | Kwang Ya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