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능수행수준과 응답수정계수 KCI 등재

Serviceability Limit State and Response Modification Fac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3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도로교설계기준 내진설계편은 붕괴방지수준의 확보를 설계절차에 의해 규정하고 있는 반면 기능수행수준의 확보에 대 한 요구사항은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지 않다. 붕괴방지수준의 확보를 위해 기본적으로 제시된 설계방법은 응답수정계수를 사용하는 스펙트럼해석법으로, 기능수행수준은 설계과정에 적용되는 위험도계수와 응답수정계수에 의해 결정 되어진다. 위 험도계수는 교량의 중요도에 따라 단순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중약진지역에서의 응답수정계수 적용은 설계조건에 따라 다 른 결과를 갖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중약진지역의 일반 도로교량을 대상으로 내진설계를 수행하여 기능수행수준의 결정과 정을 검토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기능수행수준의 확보와 관련하여 내진설계편에 보완해야 하는 사항을 제시하였다.

While the Earthquake Resistant Design Part of Korean Roadway Bridge Design Code provides design procedures for the No Collapse Requirement, requirements for the Serviceability Limit State are not clearly provided. The basic design method to meet the No Collapse Requirement is the spectrum analysis method using response modification factors and the Serviceability Limit State is determined by both the importance factor and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applied in the design procedure. The importance factor can be simply applied according to the bridge importance category, however, in moderate/low seismic regions the application of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may bring different result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In this study, for a typical bridge in the moderate/low seismic regions, determination procedures for the Serviceability Limit State are reviewed by carrying out earthquake resistant design and supplementary provisions for the Earthquake Resistant Design Part are identifi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저자
  • 국승규(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교수) | Kook, Seung-Kyu 책임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