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멸종위기야생식물인 갯봄맞이꽃(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의 분포특성과 개체군의 지속에 관여하는 요인 KCI 등재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the Population Persistence, an Endangered Plant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4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멸종위기야생식물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종이 소유하는 특성과 더불어 각 분포지에서 나타나는 환경요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분포특성을 조사하였고 석호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4년간에 걸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또한 토양과 빛 조건에 따른 월동아, 열매 및 종자 생산특성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재배실험에서 생산된 종자를 이용한 발아실험을 통해 종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였다. 갯봄맞이꽃은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분포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며 4개의 분포지는 서로 먼 거리에 격리되어 분포하였다. 2개의 분포지는 해안의 바위지대에 형성된 소규모 습지와 미사 퇴적지에 위치하였고 다른 2개 분포지는 하구가 바다와 연결되어 있는 석호에서 모래로 구성된 입지에 분포하였다. 갯봄맞이꽃은 염분과 주기적인 침수 그리고 낮은 토양층에 따라 경쟁관계에 있는 식물의 침입과 생육이 억제되는 공간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였다. 갯봄맞이꽃은 월동아에 의한 보충과 종자에 의한 유묘 보충에 의해 개체군이 유지되었다. 월동아의 생산은 토양의 유기물과 더불어 모래의 입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자에 의한 유묘 보충은 호수의 가장자리에 있는 모래언덕 배후에 위치한 염습지에서만 관찰되었다. 갯봄맞이꽃 개체군 마다 서로 다른 위협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포항의 개체군은 해안도로의 개설로 월동아의 보충에 영향을 미치는 미사의 퇴적현상이 제거된 것으로 보였다. 울산의 개체군은 분포지로 유입되는 용출수의 단절로 경쟁종의 급격한 확대와 갯봄맞이꽃 분포 면적의 축소가 나타났다. 반면에 석호의 분포지는 비교적 안정적인 개체군을 유지하였 다. 특별히 송지호의 개체군은 가장 안정적인 개체군으로 판단되었다. 석호에 분포하는 갯봄맞이꽃 개체군의 지속을 위해서는 석호가 소유하는 바닷물의 유입과 주기적인 침수를 포함하는 기작이 잘 유지되도록 광역적인 규모에서의 보전활동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endangered wild pla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habitat together with life traits of target specie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followed by their monitoring for 4 years focusing on the habitats in the lagoon. Also, their life traits were compared including production of hibernacles, fruits, and seeds by the soil fertilization and light intensities. Next, the information on the species was secured by germination experiment using the generated seeds from the cultivation experiment. The habitat of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in Korea was located in the rear edge of the worldwide distribution and its four habitats were isolated and distributed far away each other. Two of them were located in small salt-marsh and fine sand estuaries formed in the rocky area of the seashore, and the other two were inhabited with the sandy soil in the lagoon which was connected by river-mouth to the sea.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tends to be distributed in the sites where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the competitor were inhibited by salinity, periodic flooding, and lower layer of the soil to extend a roots. It maintained its population by recruitments of hibernacles and seedling. The production of hibernacle was assumed to be affected by the particle consist of the sand together with organic matters in the soil. Seedling recruitment was observed only in the salt-marsh area located in the rear sites of sand ridge where was the shore of the lagoon.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was observed to have different threatening factors by each population. Its population in Pohang seemed the sedimentation of fine sand which affected the recruitment of hibernacles had been erod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coastal road. The population in Ulsan appeared rapid expansion of competitor and reduction of its distribution area due to the interruption of eluted water supplied to the habitat. On the other hand, the habitat in the lagoon maintained the population relatively stable. Especially, the population in Songji-ho was determined to be the most stable one. To sustain the population of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distributed in the lagoon, it is suggested that the wide ranged scale of conservational activities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mechanisms including the entrance of seawater which belongs to the lagoon, and periodic flooding.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종
  2. 연구대상지
  3. 연구방법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분포지 간의 분포특성
  2. 분포지 내의 분포 특성
  3. 개체의 활력 비교 및 활력에 미치는 유기물의 영향
  4. 토양 유기물과 빛 조건에 따른 월동아, 열매 및 종자생산성
  5. 토양 유기물과 빛 조건에 따라 생산된 종자의 발아특성
  6.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김영철(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Young-Chul Kim
  • 채현희(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Hyun-Hee Chae
  • 오현경(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Hyun-Kyung Oh
  • 이규송(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Kyu-Song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