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ificance and Tasks of Full Inclusive Worship by Types of Disability
교회는 신앙의 테두리 안에서 모두가 평등한 사회통합적인 조직으로 볼 수 있으나, 한국 교회는 아직 장애인들과 통합의 준비가 미흡한 상태이다. 교회라는 제한적 공동체 내에서의 통합은 사회적 통합을 이끌 수 있는 통로와 기틀이 된다는 점에서 통합 예배의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드리는 통합예배의 의의 및 과제에 관하여 장애 유 형 중 지체장애, 시각장애, 발달장애, 농인(청각장애인)을 중심으 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지체·시각장애인의 공통사항으로는 접근권, 이동권, 편의시설인 환경부대시설같은 물리적 조건 의 정비가 통합예배에 중요한 요건이었다. 둘째, 시각장애인에게 는 정보 접근권의 일환으로 점자주보, 점자찬송가 및 음성언어해설이 필수적이었다. 셋째, 발달장애인은 장애의 특성상 타인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의사소통 시 표준 연령대보다 낮은 아동 수준의 언어사용과 돌발행동에 대한 이해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넷째, 농인에게는 수화통역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으며, 특히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효과적임을 밝혔다.
The church within the boundary of faith sees everyone as equal members of the society. The Korean churches in the current society still face difficulty finding ways to conduct full inclusive service with those who have disabilities and with those who have no disability. Inclusive service within the church community, for it will construct a foundation and bring about the inclusion within the social society. So inclusion within the church community has great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full inclusive worship for disabled people and non-disabled people, focusing on intellectual disability, visual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 and hearing impairment.
First, the reformation of accessibility, mobility, convenient facilities are the significant factor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for those who are visually impaired to come to church.
Second, the weekly bulletin, hymn in braille and vocal explanation are vital factors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come to church.
Third,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must have aid from another person who has the ability to use child level language and has sufficient knowledge in unexpected action.
Fourth, for those who are hearing impaired, the communication through sign language and the use of multimedia turned out to be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