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지적 공간통계량을 이용한 구제역 발생 고위험지역 탐색방안에 관한 연구 KCI 등재

Identifying the Spatial Clusters of Subregions with High-risk of FMD Occurrence Using Local Spatial Statisti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676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6.16.3.0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 FMD)은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발생 시 살처분 및 이동제한 등의 방역조치로 인하여 막대한 사회경제 적 피해를 초래한다. 구제역은 일단 발생하면 매우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사후 방역활동과 함께 예방을 위한 노력 역시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위한 중장기적 방역정책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가용한 방역자원의 한계를 감안하면, 선택과 집중이라는 측면에서 중장 기적 방역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을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지역들은 잠재적으로 구제역 발생위험이 높은 지리적 권역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지적 공간통계량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국내의 구제역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고위험지역을 탐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국지적 공간통계량은 스코어 통계량(Score statistic)으로 이를 국내에서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 발생한 구제역 자료에 적용하여 실증적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잠재적 고위험지역의 뚜렷한 공간적 군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실증결과를 토대로 중장기적 측면에서의 방역활동과 관련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Foot-and-mouth disease(FMD), one of the first class infectious diseases in domestic animals, has caused tremendous socioeconomic costs due to the preventive measures, compelled to be taken by law, such as culling, banning on vehicle movements, etc. FMD, once occurred, is concerned to spread quite rapidly and thus, preemptive efforts need to be made to prevent the outbreak, along with on-site struggling against epidemics. To this end, mid- and long-term plan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epidemic need to be presented. Since available resource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efforts are limite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local areas requiring a priority in concentrating the resources and a relevant strategic management. Those areas point to the geographic locality with potentially high risk of FMD occurrence.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local areas with potentially high risk of FMD outbreak using a local spatial statistic in an exploratory manner. To this end, the Score statistic is used. Based on the statistic, an empirical analysis was made for the data containing the information on FMD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2014 to April 2015. Analysis results show marked spatial clusters of FMD. Additionally, policy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prevention and control activities were discussed in mid- and long-term perspective.

저자
  • 박선일(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및 동물의학종합연구소 수의학과 교수) | Sonil Pak
  • 이경주(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부교수) | Gyoungju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