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법화삼매참의』의 특징적 내용과 그 의의 KCI 등재

The Characteristic Contents and the Meaning of Fahuasanmeichany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3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법화삼매참의』는 천태지의에 의해 만들어진 참의서이다. 시기적 으로 중국불교의 안정기에 들어가는 시점이기 때문에 이전의 혼란스 러웠던 정국 속에서 개인적인 참회법이 발전할 수밖에 없는 배경 속 에 편찬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더불어 중국 전통사상과 융합 및 발전했던 불교가 전통 불교사상을 펼쳐나가던 시기로 불교의 전통적 인 의례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로 이해할 수 있다. 본서의 구조는 매우 간략하다. 그러나 참회의 시작부터 모든 단계 별로 공양의 방법, 대상, 행자가 행해야 할 사소한 행위까지 상세히 알려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수행과 불교의식을 치루는 데에 있어 일 종의 지침서와 같은 역할을 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그 내용에 있어서는 육근참회와 연결시킴으로써 초기불교에서부터 이행되었던 수행방식을 적극 도입하면서 대승불교의 깨달음을 추구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법화삼매참의』의 찬술배경과 함께 중국 내에 서 불교사상을 영위할 수 있는 대상이 지극히 한정적이었던 시대를 뛰어넘어 민간층에서도 자연스럽게 불교의식에 동참할 수 있는 제반 을 마련한 계기로 작용했다는 점을 밝힌다. 그리고 본서가 의식과 수 행을 겸하면서 그 속에서 대승불교에서 추구하는 깨달음을 제시하였 다고 여겨진다. 이로써 중국 전통사상과의 연결고리를 끊어냄과 동 시에 발원 등을 통한 기존의 소극적 참회에서 깨달음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적극적이면서도 중국적 변용이 아닌 순수한 불교의 교리를 습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을 밝힌다.

The study about Fahuasanmeichanyi has not been very lively so far. The book has been simply known as Tien tai Zhi-yi's writing about repentance. The few researches about it are mostly about its relation with the ideas of Tien tai of China and the popularization of Tien tai through the ways of repentan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Fahuasanmeichanyi. When the time Zhi-yi wrote this penitential, there had been needs for the fixed form of Buddhist ritual and the rules for confession and pardon. Also the necessity of ideological, ritual, and disciplinal independence from the traditional ideas of China. By then, Buddhism had prospered mixed with Chinese indigenous faith. When the penitential was written, Chinese Buddhism had have to correct the distorted religion. The structure of Fahuasanmeichanyi is very simply. However, its contents are detailed enough to encourage the public to follow the ritual and practice Buddhist practice. Zhi-yi had made detailed penitential of the reasons, the days, the ways of practicing and offerings. Especially he had brought the penitential service over the sins of the six senses which had been used from the early Buddhism. From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penitential had lead the enlightenment of Mahayana by the way of both ritual and self-discipling.

저자
  • 한지연(금강대학교 HK교수) | Han, Jee-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