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롤러전압콘크리트포장의 성능 기반 배합설계 개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674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도로학회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초록

지난 수십 년간 공공시설 및 사유지 적용을 위한 롤러전압콘크리트포장의 사용실적은 꾸준히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롤러전압콘크리트포장은 아스팔트포장의 시공특성과 전통적 콘크리트포장의 재 료적 특성을 동시에 나타낸다. 또한 작업성(workability)과 다짐성(compactibility)은 롤러전압콘크 리트포장의 우수한 배합설계를 결정하기 위한 주요요소로써,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 콘크리트라 할지 라도 적정 반죽질기 또는 작업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시공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 적용을 위한 롤러전압콘크리트의 배합설계 시 흙다짐 방법 및 반죽질기 방법을 사 용하고 있으나, 흙다짐 방법의 경우 작업성을 고려하지 못하며 반죽질기 방법은 작업성만을 고려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장 적용을 위한 롤러전압콘크리트에 대하여 실내실험 변수와 현장 공용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배합설계방법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내실험 변수를 현장 공용성 으로 연계하여 적정 공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 롤러전압콘크리트 배합을 도출하였으며, 롤러전압 콘크리트의 주요 물성인 반죽질기, 강도 및 내구성과 배합비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 한 실내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실제 현장 조건에서 이와 같은 물성들을 연계시키기 위하여 속초인 근 고속도로 부체도로에 총 5개 구간의 롤러전압콘크리트포장을 시공하여 품질관리 변수인 반죽질기 에 근거하는 하중지지력과 표면 물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물성들의 새로운 이해는 포장 적용을 위한 롤러전압콘크리트의 배합설계절차 개선으로 이어진다.

저자
  • 이승우(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