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Response to Prism Stimulation in Exophoria Patients KCI 등재

외사위 환자에서 프리즘 자극에 대한 실제반응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7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안위이상을 갖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프리즘 자극에 대한 실제 반응의 차이를 확인해 보고자 하 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20/20 이상인 외사위를 갖는 25명을 대상으로 대약시경을 이용하여 자 각적 사시각과 타각적 사시각, 이상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대약시경의 잔상전이검사를 이용하여 프리즘 자 극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25명 중 이상망막대응은 16명(64%)이었고, 그 중 조화이상망막대응과 부조화이상망막 대응은 각각 5명(20%), 11명(44%)이었다. 이상망막대응의 유병률은 안위이상 정도에 따라 나눈 두 그룹 모 두에서 정상망막대응 보다 많았지만, 정상망막대응과 이상망막대응 모두 안위이상 정도와 낮은 상관관계로 확인 되었다(p=0.25, p=0.53, p=0.38). 잔상전이검사에서 초기 잔상 위치는 이상각과 통계적인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었다(p<0.05). 프리즘 자극에 대하여 나타난 실제융합성움직임을 이상망막대응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p<0.05), 실제융합성움직임이 멈추는 지점과 이상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결론: 이상각을 포함한 대응 상태의 확인이 수술 또는 비수술적 처치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도움이 될 것 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real responses to prism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exophoria. Methods: The present study involved 25 participants with exophoria who did not have any eye disease and had best correct visual acuity of 20/20 or better. A synoptophore was used to measure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deviation angles, as well as the angle of anomaly. Moreover, responses to prism stimulation were identified using afterimage transfer test with the synoptophore. Results: Among the total of 25 participants, 16(64%) showed anormalous retinal correspondence (ARC), with 5(20%) and 11(44%) having harmonious and unharmonious ARC, respectively. Prevalence of ARC was higher than normal retinal correspondence(NRC) in both groups divided according to amount of deviation angle. However, both NRC and ARC were found to have low correlations with amount of deviation angle(p=0.25, p=0.53, p=0.38). In the afterimage transfer test, position of the initial afterima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gle of anomaly(p<0.05). Real fusional movement(RFM) in response to prim stimulation was identified in ARC(p<0.05), and the point at which RFM stopped and angle of anoma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p<0.05).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identification of responsive state, including the angle of anomaly, may be helpful as data needed during surgical and/or non-surgical treatment.

저자
  • Dae-Gwang Wi(공안과 의원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 위대광
  • Hyun-Sung Leem(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 임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