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비자 자민족주의 가치와 광고가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 중국 밀레니엄 세대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s of Consumer Ethnocentrism and Advertising on Brand Choice of Chinese Milleni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1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밀레니엄 세대를 대상으로 소비자 자민족주의(CET) 가치와 자민족주의 광고가 소비자의 국 내 및 외국 브랜드 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CET 선행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CET 가 치가 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만 치중하여 온 반면에, 마케팅 자극에 의한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ET 효과와 함께, 자민족주의 광고의 효과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 광고를 제작하여 220명 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우선, CET의 효과가 내국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에 따라 다르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ET를 독단주의와 애국심 CET로 구분하여 분석하면, 내국 브랜드에 대해서는 독단주의와 애국심 CET 모두 유의한 영 향을 미쳤으나, 외국 브랜드에 대해서는 애국심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연구의 또 다른 결과는 자 민족주의 광고가 내국 브랜드 선택에는 영향이 없으나, 외국 브랜드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그러나, 자민족주의 광고가 CET 가치가 높은 소비자에게는 높게 나타나고,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확 증 편향(Sullivan, 2009)은 발견되지 않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the value of consumer ethnocentrism and ethnocentric advertising affect Chinese millennials in their choices for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n predicting ethnocentric consumer behavior, past research has tended to focus on consumers’ ethnocentric beliefs and values rather than ethnocentric marketing stimuli.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220 Chinese millennials, using fictitious advertisements. The study found that when the CET value was analyzed with dogmatism and patriotism CET, both CET valu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for domestic brands; but for foreign brands, only patriotism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ethnocentric advertising may not encourage purchases of domestic brands, but can discourage foreign brand purchases. However, the study found no evidence supporting confirmation bias (Sullivan, 2009) of ethnocentric advertis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소비자 자민족주의 (CET)의 개념
  2.2 중국 시장에서의 CET와 효과
  2.3 CET의 구성 요인
 Ⅲ. 연구 가설
 Ⅳ. 연구방법
  4.1 연구 설계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4.3 자료수집 및 표본
 Ⅴ. 실증 분석
  5.1 척도 평가
  5.2 기술적 통계
  5.3 가설 검증
 Ⅵ. 결론 및 토의
 References
저자
  • 한충민(한양대학교 경영대학교 교수) | C. Min Han 제1저자
  • 구오첸(한양대학교 대학원) | Chen Gu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