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안 연안양식장 주변해역의 해양학적 특성 KCI 등재

Oceanographic Features Around Aquaculture Areas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2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동해 연안양식장 주변해역의 월별 변화에 따른 수괴의 분포와 생물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짝수 월(2-12월)에 속초, 죽변, 감포 연안의 3개 지점에서 CTD 관측과 함께 용존산소(DO), 클로로필 a(Chl-a), 질산염과 인산염의 N/P 비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속초, 죽변 및 감포 해역에 대한 등밀도선 위의 수온(T)-염분(S)도로 수괴를 분석한 결과, 이들 해역은 대마난류 표층수, 대마난류 중층수 및 북한한류수로 나타났다. 이들 수괴에서 수온과 염분의 분포 범위를 보면, 대마난류 표층수는 수온 20-28.3 ℃ 와 염분 31.04-33.75, 대마난류 중층수는 수온 8.1-16.3 ℃ 와 염분 33.00-34.49, 북한한류수는 수온 1.8-9.4 ℃ 와 염분 33.78-34.42를 나타내었다. DO는 동계(12월, 2월)에 남에서 북, 봄철(4월, 6월)과 가을철(10월)에는 상층에서 하층, 하계(8월)는 중층을 중심으로 상하층으로 갈수록 그 농도가 높았다. Chl-a 농도는 동계(2월), 춘계(4월), 추계(10월-12월)에 0.4 μg/L 이하로 낮았고, 6-8월은 다른 월에 비해 고농도가 넓게 분포하였다. 특히, 감포는 8월에 강한 수온과 염분의 약층이 형성된 곳에서 띠 형태로 2 μg/L 이상의 고농도가 분포하였다. N/P 비는 2-6월과 12월은 전반적으로 그 비가 16 이하로 질산염이 영양염의 제한요소로 작용하였고, 8-10월은 그 비가 16 이상으로 연안 부근에서 인산염이 영양염의 제한 요소로 작용한 곳이 많이 나타났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ceanic environment in the coastal aquaculture waters of the East Sea, the observation of the CTD (temperature and salinity), dissolved oxygen, chlorophyll a and N/P (DIN (NO2-N, NO3-N, NH4-N) : DIP(PO4-P)) ratio was carried out at Sokcho, Jukbyon and Gampo in February, April, June, August, October, December 2013. Based on T(temperature)-S(salinity) diagram analysis, the water masses in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3 groups; Tsushima Surface Water (TSW: 20-28.3 ℃ temperatures and 31.04-33.75 salinities), Tsushima Middle Water (TMW: 8.1-16.3 ℃ and 33.00-34.49), and North Korean Cold Water (NKCW: 1.8-9.4 ℃ and 33.78-34.42). In winter, DO concentrations in the northern part were higher than those in southern part. In spring and fall, they were low in the surface layer, and increased in summer. Chl-a concentrations < 0.4 μg/L dominated in February, April, October and December. Chl-a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June and August. In particular, the highest Chl-a concentration > 2 μg/L was observed in the middle layer of Gampo in August. In February, April, June and December, the N/P ratio in the most of the water masses was less than the Redfield ratio (16), indicating that nitrate did act as a limiting factor in phytoplankton growth. On the contrary, in August and October, the N/P ratio in surface and sub-surface layer was greater than the Redfield ratio, suggesting that phosphate was a limiting factor.

저자
  • 정희동(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Hee-Dong Jeong
  • 권철휘(국토해양환경기술단) | Chul-Hui Kwoun
  • 임진욱(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Jin-Wook Lim
  • 권기영(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Kee-Young Kwon
  • 김상우(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Sang-Wo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