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항만 · 어항개발사업의 해역이용협의서 작성실태 평가 및 개선방안 KCI 등재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Documentation Status on the Statements for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Project of Ports 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5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최근 3년간의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서 91건을 분석하여 그 작성실태(평가항목별 조사현황과 영향예측 등)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 · 제시하였다. 9개 평가항목 중에서 해양화학, 해양퇴적물 및 해양생태계 부분에서는 현장조사 비율이 높았으나(70 % 이상), 조사자료를 활용한 영향예측은 미흡하였다. 반면, 해양물리의 경우는 현황조사 비율은 낮았지만(조석 7.7 %, 조류 24.2 %), 영향예측 수행비율은 높아 예측결과를 뒷받침할 만한 근거와 검증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사와 예측에 대한 평가가 연관성이 낮아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있어 영향예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주요 외력(조석, 조류 및 파랑 등) 및 중점평가사항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이 필요하나, 현재는 사업유형을 고려하지 않는 일반적인 평가방법과 자료인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향후 사업규모와 지역특성 등을 고려한 중점평가항목과 구체적 평가사항(조사시기, 정점선정)을 사전에 스코핑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현장조사자료의 신뢰성 강화를 위해 해양화학 및 해양퇴적물의 분석에 관한 정도관리체계의 적용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91 cases of the statements for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projects of ports and fishery harbors for 2012 - 2014 and the status of the record of document,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way to go. The marine environmental timpact assessment items both marine chemistry such as water quality, sediment and marine biology such as benthic animal, plankton, and fisheries show highly rate of site survey. But, the utilization of those data through site survey is too low, and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QA/QC for the reliability of survey data. The items of marine physics such as tide, tidal current analyzed based on references not a site survey. However, the simulation performed actively without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compared to the result of site survey. When the projects of port and fishery harbor perform,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physical parameter such as wave, tide and tidal current especially. Based on the scale and the type of project, we need introduce the system of scoping for prediagnosis the key assessment items and checklists.

저자
  • 탁대호(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Dae-Ho Tac
  • 오현택(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Hyun-Taik Oh
  • 김귀영(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Gui-Young Kim
  • 이대인(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Dae-I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