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KCI 등재

Public Attitudes to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and Its Effects on Marine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5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논문에서는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만금 인근지역인 전북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400가구 및 새만금 인근지역 외 전국 600가구 등 총 1,0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새만금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및 해양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해 판단하는 공공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서열프로빗 모형을 적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식조사 결과, 새만금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와 해양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새만금 인근지역조사 및 전국조사 응답자의 70 % 이상이 새만금 개발사업을 반대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응답자의 90 % 이상이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의 해양환경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 환경관리를 위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public’s attitudes about the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and its impact on marine environment with the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f 1,000 households obtained by a professional survey firm with face-to-face interviews using two split samples: a sample of 400 households in on-site area (Saemangeum area) and a sample of 600 households in off-site area (the nation except for Saemanguem area). More specifically, ordered probit model is employed to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ublic attitudes to the Saemanguem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s show that over 70 percentage of respondents in both the samples opposed Saemanguem development project when they considered its economic gain and impacts on marine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Futhermore, over 90 percentage of respondents judged that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aemanguem open sea is necessary. Therefore, making appropriate actions are required to manage marine environment of Saemanguem open sea.

저자
  • 백민지(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 Min-Ji Baek
  • 최효연(고려대학교 경제학과) | Hyo-Yeon Choi
  • 유승훈(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 Seung-Hoon Y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