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 연안 수괴 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 KCI 등재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Based on Water Mass in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5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동해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 특성과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연안 18개 정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37종, 와편모조강 22종, 유글레나조강 1종, 규질편모조강 3종 및 은편모조강 1종으로 나뉘었다. 현존량은 1.2×10³ -246.6×10³ cells/L(평균 24.8×10³ cells/L)의 분포 범위를 보였으며 5월에 가장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affinis, Pseudo-nitzschia pungens 및 Thalassionema nitzschioides 등이 출현하였다.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pH, 용존산소, 클로로필-a 및 부유물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규산규소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은 등밀도선 상의 수온(T)-염분(S)도로 구분한 수괴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월은 수온, 8월은 염분 분포와 관계가 있었다. 현존량과 종조성을 바탕으로 다원척도 분석을 한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인 분포는 경북 죽변과 울진을 기점으로 강원연안 그룹(Group A)과 경북연안 그룹(Group B)으로 나뉘어졌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as well as the effect of wat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 investigated 18 stations in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in 2009. The taxa of phytoplankton observ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as 37 Bacillariophyceae, 22 Dinophyceae, 1 Euglenophyceae, 3 Dictyophyceae and 1 Cryptophyceae. Phytoplankton abundance ranged from 1.2×10³ cells/L to 246.6×10³ cells/L(with a mean value of 24.8×10³ cells/L), the highest biomass was observed in May. The dominant species were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affinis, Pseudo-nitzschia pungens, Thalassionema nitzschioides and et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hytoplankton abundance and other water parameter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H, DO, Secchi-disk depth, and SS, th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iO₂-Si. Seasonal patterns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we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based on T-S diagram analysis. In particular, phytoplankton distributional patterns were 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in May and salinity in Augus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MDS(Multi-dimensional scaling) using the phytoplankt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were characterized with Ganwon(Group A) and Gyeongbuk(Group B) at the coastal areas of Jukbyeon or Uljin.

저자
  • 심정민(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Jeong-Min Shim
  • 권기영(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Ki-Young Kwon Corresponding Author
  • 김상우(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Sang-Woo Kim
  • 윤병선(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Byong-Seon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