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LOB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FLOB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7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FLOB(floral object)이란 다양한 재료, 화훼 표현기법과 작가의 예술의식이 조합되어 새로운 조형성과 예술성을 추구하며, 식물이 가진 본 래의 형태를 해체하여 전혀 다른 오브제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현대 화훼조형의 장르이다. FLOB 작품은 1980년대 이후 국내 화훼조형작품 에서 두드러지게 보여지나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적고 FLOB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화훼작가들의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의 FLOB에 대한 인식 및 표현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 남녀 플로리스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을 하였으며, 2007-2015년 까지 발표된 화훼조형작품집과 매거진에서 해체적 특성이 명확히 나타난 FLOB 작품 230점을 표집, 분석하여 사용된 소재, 형태, 표현기법 에 따라 분류된 FLOB 디자인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다양한 화훼조형의 표현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표집작품의 조형형태는 ‘기하형태(54.7%)’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소재유형은 ‘절엽’(31.0%), 소재해체방법은 ‘분해’(50.4%), 표현기법은 ‘gluing’(46.8%), 작 품 활용도에서는 ‘공간장식'(50.5%)이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 FLOB 디자인의 인지도 분석 결과 ‘매우 잘 알고 있다’와 ‘알고 있다’의 비 율이 전체 응답자의 60.5%를 차지하였으며, 40대 이상, 10년 이상 화훼장식 경력의 플로리스트들에게서 인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FLOB 디자인을 아는 그룹과 모르는 그룹 간 해체적 특성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해체적 특성에 적합한 소재의 이해도를 분석한 결과 절화소재는 두 그룹 모두 Gomphrena globosa의 적합성이 가장 높으며 Helianthus annuus는 그룹 간 큰 인식 차이를 보였다. 절엽소재는 FLOB 디자인의 인지유무에 상관없이 Magnolia grandiflora > Aspidistra elatior > Galax urceolata 순으로 FLOB 디자인에 알맞은 소재로 인식되었으며, 절지소재는 인지유무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열매소재 의 경우 Smilax china가 가장 높은 적합성을 보였다.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을 플로리스트들이 본인의 화훼 작품에 사용하고 있는 비 율은 전체 응답자의 76.2%이며 그 중 자신의 화훼작품에서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이 실제로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고 작품을 완성한 비율은 60.7%로 나타났다. 화훼작품 제작 시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 사용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3%가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용 의향이 있는 플로리스트들은 대부분 재료의 물성, 다양함 표현(55.7%)과 시각적 조형효과 극대화(40.2%)를 위해 장식용 디자인작품(43.4%)이나 예술 표현의 전시조형작품(40.2%)에 해체적 특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FLOB 디 자인을 제작함에 있어서, 디자인 목적에 맞는 적절한 소재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소재가 지닌 형태적 특성과 물성, 시간에 따른 변이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 김종윤(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Jongyun Kim Corresponding author
  • 홍종원(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Jong Won Hong
  • 장유진(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Eu Jean Jang
  • 유영임(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 Young Im 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