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CP 시나리오별 한반도 가뭄특성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RCP scenarios at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8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RCP 시나리오별 표준가뭄지수의 특성을 정량적인 측면과 공간적인 측면에서 상호비교 하였다. 이를 위해, 4개의 RCP 시나리오 로부터 산정된 SPI를 기반으로 가뭄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고, 가뭄발생 횟수와 지속기간을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RCP 시나 리오별 SPI의 거동 특성은 매우 상이하고, 모든 상관계수가 0.08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뭄의 정도, 발생횟수, 그리고 지속기간에 대한 상이한 공간분포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RCP 시나리오별 상이한 가뭄발생전망 특성의 가장 큰 배경은 다른 온실가스 배출농도 시나리오 기반의 일 강수량을 들 수 있으나, 온실가스 배출농도 규모에 따른 영향은 명확하지 않았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단일 RCP 시나리오 자료만 이용 한 가뭄발생 전망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따를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mplemented a comparison of SPI characteristics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spatial analysis depending on four RCP scenario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drought using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resulted from daily precipitation data reflecting future green gas concentration scenarios, and spatial distribution field of seasonal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and its duration, was analyzed to compare drought trends depending on the RCP scenarios. As a result, we found that SPI time series was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lower than 0.08. Depending on the RCP scenarios, spatial distribution results showed different trends in drought severity, frequency, and duration. The biggest reason of the difference is daily precipitation data based on the different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but we could not find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extent on drought occurrence proje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study, drought analysis results using single RCP scenario may have considerable uncertainty.

저자
  • 김정호(콜로라도주립대학교 공과대학) | Kim, Jungho
  • 김상단(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Kim, Sangdan
  • 주진걸(동신대학교 토목공학과) | Joo, Jingu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