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산 저품위 고령토자원의 단청안료 원료로써의 활용 가능성 KCI 등재

Applicability as a Dancheong Pigment Raw Materials of Korean Low Grade Kaol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79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출 고령토자원의 문화재 단청안료의 대체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시험 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 색도측정, 현업종사자의 단청시공 및 평가, 촉진내후성시험, 방염성능시 험 등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를 종합하면 고품위의 광석에 비하여 장석의 함량이 높으며 38.1 μm 이 하의 작은 입자들로 구성된 광석일수록 백색 안료 고유의 용도로 시공에 유리하며, 시공 시편의 백색 도와 은폐력 및 옥외 폭로 시 내구성 등에서 호분, 산화지당 등 기존 안료들과 유사하거나 크게 떨어 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잠재적인 화재 위험도와 가연성을 평가한 방염성 시험에서는 장석 함량이 높은 시료가 비교군 안료들에 비하여 더 양호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결론적으로 미립의 장석 질 백토와 저품위 고령토를 백색의 안료로 활용할 경우 기존 백색 안료제품과 유사한 채색특성과 내 후성 및 더 우수한 방염성을 가지면서 경제성까지 갖춘 원료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X-ray diffraction analysis, chromaticity measure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by Dancheong artisan, accelerated weathering test, and fire resistance test were conducted to test the applicability as a Dancheong pigment raw materials of Korean low grade kaolin in cultural properties. The ores that feldspar rich and composed of fine particles (< 38.1 μm) showing advantageous for the inherent purpose of the white pigment than that of high grade kaolin. And the test of whiteness, concealment force, outdoor exposure durability and fire resistance shows similar or better result than existing products (Hobun and Sanhwa jidang).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fine feldspar rich white soil and low-grade kaolin can be used as a white pigment raw materials which have similar to better material properties and economic efficiency than existing products.

저자
  • 문동혁(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Dong Hyeok Moon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한민수(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Min Su Han ((Division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rresponding author
  • 조현구(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Hyen Goo Cho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명남(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Myoung Nam Kim ((Division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재환(조선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Jae Hwan Kim ((Center for Research Facilities, Chosu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