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남육괴에 분포하는 쥐라기 춘양화강암의 지화학적 특성 KCI 등재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urassic Chunyang Granites in Northeastern Part of the Yeongnam Massi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79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영남육괴 북동부에 위치하는 춘양화강암은 비알칼리계열 중 칼크-알칼리계열에 해당하는 I-type의 화강암류이며, 고알루미나질이다.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의 함량변화는 체계적인 연속성을 보이며, 일반적인 남한의 쥐라기 화강암류 의 분화경향과 유사하다. 미량원소 중 유동성을 가지는 LILE (Sr, K, Rb, Ba)는 부화되어 있는 반면, 비유동성을 나타 내는 HFSE 중 Ta, Nb, P, Ti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있다. HREE에 대한 LREE의 강한 부화((La/Lu)CN=41.8-73.2)와 Eu 부(-)이상[(Eu/Eu*)CN=0.89-1.10]은 남한에 분포하는 쥐라기 화강암류의 패턴과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춘양 화강암을 암체의 서쪽에 위치하며 영주저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석심성암체와 비교하면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의 Harker 성분변화도에서 SiO2 함량에 따른 상관관계를 인지할 수 없어 두 암체는 성인적으로 무관한 별개의 암체로 사 료된다. 춘양화강암은 지구조 판별도에서 화산호 환경에 도시되고 따라서 춘양화강암의 지화학적 특성을 종합해보면 쥐 라기 고태평양판이 섭입하는 활동성 대륙주변부 환경에서 생성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geochemical results of the Chunyang granite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Yeongnam Massif, indicate that these rocks have characteristics of calc-alkaline series in the sub-alkaline field, I-type and peraluminous. Most of the geochemical features in major and trace elements show systematic trends, which are similar to differentiation trends of the general Jurassic granitoids in South Korea. The Chunyang granite is largely enriched in mobile LILE (Sr, K, Rb and Ba) relatively immobile HFSE. They show LREE enriched patterns [(La/Lu)CN=41.8-73.2] with a slightly negative Eu anomaly [(Eu/Eu*)CN=0.89-1.10]. There are no meaningful correlations in major and trace elements between the Chunyang granites and the Buseok plutonic rock which is the main unit of the Yeongju batholith. This result may suggest that these two plutonic rocks be not derived from the same parent magma. Tectonic discrimination diagrams indicate that the Chunyang granite was formed in volcanic arc environments. Thes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results suggest that the Chunyang granite must have been generated at the active continental margin during the subduction of the Jurassic proto-Pacific plate.

저자
  • 강민영(토월고등학교, 51451,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비음로 91-8) | Minyoung Kang (Towol High School, Changwon 51451, Korea)
  • 김윤지(대구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38453,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 Yunji Kim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Daegu University, Gyeongsan 38453, Korea)
  • 위수민(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2817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태성탑연로 250) | Soomeen W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817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