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릉 지역에서 자동 전운량 장비와 GWNU 태양 복사 모델을 이용한 지표면 일사량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Global Solar Radiation using the GWNU Solar Radiation Model and Automated Total Cloud Cover Instrument in Gangneung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79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지표 관측 자료와 위성 자료 그리고 GWNU 단층 복사 모델을 이용하여 맑은 상태의 전천 일사 량을 계산하였으며, 전운량에 따라 관측 및 모델의 일사량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2012년 강릉원주대학교 복사 관측소의 전천 일사량, 기온, 기압, 습도, 에어로졸 등의 관측 자료와 OMI 센서의 오존전량 자료 그리고 구름의 유무 및 전운량을 판단하기 위하여 자동 전운량 장비인 Skyview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운량이 0 할인 맑은 날의 경우 관측 값과 모델 값이 0.98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나 RMSE가 36.62Wm−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Skyview 장비가 얇은 구름이나 박무 및 연무 등의 기상상태를 판단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흐린 날의 경우 구름의 영 향을 보정하기 위해 전운량과 두 값의 차에 대한 비율을 이용한 회귀식을 복사 모델에 적용하였으며, 장비의 오탐지를 제외한 경우 상관계수가 0.92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RMSE가 99.50 Wm−2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더 정확한 분석 을 위해서는 직달 성분의 차폐 유무 및 구름 광학 두께를 포함한 다양한 구름 요소의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 연구결과는 분 또는 시간에 따른 일사량을 산출하여 일사량이 관측되지 않는 지역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Global solar radiation was calculated in this research using ground-base measurement data,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and GWNU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olar radiation model. We also analyzed the accuracy of the GWNU model by comparing the observed solar radiation according to the total cloud cover. Our research was based on the global solar radiation of the GWNU radiation site in 2012, observation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humidity, aerosol, total ozone amount data from the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sensor, and Skyview data used for evaluation of cloud mask and total cloud cover. On a clear day when the total cloud cover was 0 tenth, the calculated global solar radiations using the GWNU model ha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8 compared with the observed solar radiation, but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as relatively high, i.e., 36.62 Wm−2. The Skyview equipment was unable to determine the meteorological condition such as thin clouds, mist, and haze. On a cloudy day, regression equations were used for the radiation model to correct the effect of clou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2, but the RMSE was high, i.e., 99.50 Wm−2. For more accurate analysis, additional analysis of various elements including shielding of the direct radiation component and cloud optical thickness is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in the area where the global solar radiation is not observed by calculating the global solar radiation per minute or time.

저자
  • 박혜인(국가기상위성센터 차세대위성개발팀, 27803,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구암길 64-18) | Hye-In Park (Satellite Development Team, National Meteorological Satellite Center, Jincheon 27803, Korea)
  • 조일성(강릉원주대학교 복사-위성연구소, 25457,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 | Il-Sung Zo (Research Institute for Radiation-Satellit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2545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김부요(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25457,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 | Bu-Yo Kim (Department of Atmospheric & Environmental Science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25457, Korea)
  • 지준범(한국외국어대학교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 17035,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외대로 81) | Joon-Bum Jee (Weather Information Service Engin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Yongin 17035, Korea)
  • 이규태(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25457,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 | Kyu-Tae Lee (Department of Atmospheric & Environmental Science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25457,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