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분석을 통한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분류학적 재평가 KCI 등재

Reassessment of the Taxonomic Status of the Bemisia tabaci Complex (Hemiptera: Aleyrodidae) Based on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0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담배가루이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농업 해충들 중의 하나이며, 전세계적으로 40개 이상의 종들로 구성된 종복합군(species complex) 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유전적 변이와 구성하는 종들의 수를 550개의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재평가하였 다. 담배가루이의 유전적 변이는 0% - 27.8%이며(평균 11.1%), 이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서로 다른 속들 혹은 아과들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 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217개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분석된 계통수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잠재적인 신종(Java)을 포함한 43개 종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가운데 9종(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기존의 종구분 한계인 4.0%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들을 구분하는데 적합하며, 높은 종내 유전변이를 보이 는 종들은 은밀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s in the world. In the present study, the taxonomic status of B. tabaci and the number of species composing the B. tabaci complex were determined based on 550 COI gene sequences of B. tabaci. Genetic divergence within B. tabaci ranged from 0% to 27.8% (average 11.1%).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B. tabaci complex is composed of multiple species that may belong to different genera or subfamilies.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based on 217 COI gene sequences without duplications revealed that the B. tabaci complex is composed of a total of 43 putative species, including a new species, Java. In addition, genetic divergence within nine species (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 indicates that 4.0% is reasonable to be used as a threshold of species boundaries within the B. tabaci complex, and species with high intraspecific genetic divergences can be related with cryptic species.

저자
  • 이원훈 | Wonhoon Lee
  • 이관석(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Gwan-Seok Lee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and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