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물리화학적 처리가 양돈장 악취저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hysico-Chemical Treatment on Odor Reduction of Swine Far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5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동물자원연구 (Annals of Animal Resources Sciences)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Institute of Animal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양돈장 악취저감 효과를 분석 하기 위하여 물리적 처리 방법인 커튼과 화학적 처리 방법 인 오존수 분무를 병합처리 하는 오존수커튼 시스템을 상 업적인 양돈장에 설치하고 처리 및 설치 전․후의 악취발생 특성과 악취저감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존수커튼 시스템은 돈사내부의 악취물질과 먼지를 배기구를 통해 커튼 내부로 포집 후 오존수의 강력한 산화 력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안정적인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 임을 확인하였다. 오존수커튼 시스템 설치 후 돈사 내부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복합악취 농도가 높은 반면, 커튼 외부와 부지경계선에서 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악취발생량 또한 크게 감소되 었다(p<0.01). 측정위치별 악취물질농도와 악취발생량은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복합악취 모두 계절에 관계없이 돈사 내부, 커튼 외부 및 부지경계선 순으로 높았다(p<0.01). 돈사 내부의 악취물질 농도는 환기량이 적은 봄과 겨울에 높고 환기량이 많은 여 름과 가을에 낮았으나, 돈사 외부와 부지경계선에서의 악 취물질농도는 돈사 내부와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양돈장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은 오존수커튼 시스템에 의한 물리화학적 처리로 90% 이상 저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양돈장 외부로의 악취물질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악취민원 제거를 위한 효율적인 악취저감시설로 활용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physico-chemical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odorous compounds from a swine farm. The physico-chemical treatment consisted of a system with a curtain and a spray of ozonated water. This treatment is a physical one for collecting the exhausted air, odor gas inside the curtain and additionally a chemical treatment because it comprises an ozonated water spray to remove odor compounds by ozone oxidation. Ammonia, hydrogen sulfide, trimethylamine, 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complex odor were found in high concentrations in the pigsty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the physico-chemical treatment system, but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outside the curtain and on the perimeter of the swine farm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The volume of odorous compounds also showed a similar trend as that for the odorous compound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all odorous compounds inside the pigsty were high regardless of the season, with spring and winter accounting for the highest values due to minimum ventilation. Outside the curtain and perimeter of the site,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and odor generation fluctuated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intensity of the pigsty. Almost no odorous compounds were detected in spring and winter when ventilation intensity is low, and high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were found in summer and autumn (p<0.01).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pigsties can be reduced by more than 90% by filtering, disassembling and sterilizing the curtain and ozonated water spray syste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ystem will alleviate the problems caused by the diffusion of odorous compounds and improve the acceptance levels of intensive pig farming.

저자
  • 김희호(경남과학기술대학교) | Hee-Ho Kim
  • 하덕민(경남과학기술대학교) | Duck-Min Ha
  • 이재영(경남과학기술대학교) | Jae-Young Lee
  • 신효섭(연암대학교) | Hyo-Sub Shin
  • 송준익(연암대학교) | Jun-Ik Song
  • 김두환(연암대학교) | Doo-Hwa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