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장품 소재로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미백활성에 관한 효과 KCI 등재

A Study of the Whitening Activities of Magnolia obovata Bark Ethyl Acetate Fractions as Cosmetic Ingredi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5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천연물인 후박(Magnolia obovata Bark, M. obovata Bark)을 에탄올 추출 및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분획한 분획물이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화장품 원료 소재로서 가능 성을 확인하였다. 후박의 에탄올 농축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하여 유효물질 honokiol을 HPLC로 정량하였다.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in vitro 미백활성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외 멜라닌 분비를 감소시켜 IC50 = 11.05 μ g/mL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에 독성을 가지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 μ g/mL 처리 시 최대 약 60%의 멜라닌 분비 억제로 세포 외로 분비되는 멜라닌의 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α-MSH (50 nM)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 IC50 = 10.85 μ g/mL로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세포에 자극이 되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 μ g/mL 처리 시 최대 약 59%의 멜라닌 생성 억제를 확인하 여 세포 외 멜라닌 분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α-arbutin의 경우, IC50 = 59.99 μ g/mL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양성대 조군 α-arbu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임상연구의 경우,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주)대한피부과학연구소(KDRI) 윤리위원회의 IRB 승인 (KDRI-IRB-1536) 후 반복 첩포를 통한 인체 누적첩포시험을 진행하여 무감작 물질로 확인하였다. 또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대조군 대비 국소적 미백효과와 신뢰성 있는 피부 안전성을 보 여주었다. 최종적으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 충분 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EtOAc fractions of Magnolia obovata (M. obovata) Bark extracts were studied for the potential ingredient as a safe and effective whitening cosmetic material. The concentration of active substances honokiol was determined by HPLC. In vitro, the fractions reduced the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melanin contents in B16F10 cells in dose dependently and inhibited extracellular melanin secretion (IC50 = 11.05 μg/mL). The 12.5 μg/mL treatment of maximum concentration effectively inhibited up to about 60% to the amount of extracullular melanin. Also, the 12.5 μg/mL treatment of maximum concentration effectively inhibited up to about 59% to the amount of intracullular melanin (IC50 = 10.85 μg/mL). The IC50 value of α-arbutin used as a positive control was 59.99 μg/mL. So, EtOAc fractions of M. obovata Bark extracts showed whitening effect when compared with the non-treatment group. In case of in vivo study, Cosmetic cream with EtOAc fractions of M. obovata Bark extracts was approved by Ethics committee of KDRI (IRB number: KDRI-IRB-1537). As a result in progress for skin sensitization as well as assessment of skin irritation through repeated patch test, skin allergens was identified as non sensitizing agents. Also, cosmetic cream with EtOAc fractions of M. obovata Bark extracts showed significant topical whitening effect and reliable skin safety when compared with the non-treatment group. In conclusion, EtOAc fractions of M. obovata Bark extracts may be a useful cosmetic ingredient for effective skin whitening.

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
저자
  • 강희철((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 | Hee Cheol Kang
  • 주광식((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 | Kwang Sik Joo
  • 주세진((주)서울화장품) | Se Jin Joo
  • 하영애((주)서울화장품) | Young Ae Ha
  • 김학수((주)서울화장품) | Hack Soo Kim
  • 차미연((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 | Mi Yeon Cha 주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