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니멀리즘 음악의 수렴하고 발산하는 정의들에 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Convergent and Divergent Definitions of Minimalist Musi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0240
  • DOIhttps://doi.org/10.16939/JMSK.2017.20.1.1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양음악학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한국서양음악학회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초록

본 논문은 첫째, 현재 학계와 대중에 의해 통용되는 다양한 지식을 바탕으로 미니멀리즘 음악에 관한 서로 대조되는 두 가지 방식의 정의를 이끌어냈다. ‘수렴하는’ 정의는 초기 미니 멀리즘 음악을 설명하는 정치적 · 사회적 · 미학적 조건 및 음악외적 형태를 바탕으로 미 니멀리즘 음악을 특정 맥락에 위치시킨 것이다. 한편 ‘발산하는’ 정의는 변화하고 발전된 미 니멀리즘 음악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서 언급했던 네 가지 조건을 부분적으로만 충족 시키거나 이런 조건으로 범주화되지 않는 다양한 음악을 미니멀리즘 음악으로 정의하는 방 식이다.
둘째, 본 논문은 이런 두 가지 방식의 정의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원인을 고찰했다. 이 런 현상은 언어가 특정 대상을 명확하게 지시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에서 비롯되며, 이 단어가 지칭하는 음악이 너무도 급격하게 변해왔고, ‘미니멀’이라는 용어가 형용사이며 애매모호 한 뜻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유발되었다.
셋째, 본 논문은 이런 두 가지 방식의 정의가 미니멀리즘 음악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 구했다. 우선 미니멀리즘 음악의 의미는 수렴하고 그리고 발산하는 이분법적인 개념으로 존 재하며, 수렴이 발산을 억압하는 형태로 표상된다. 그리고 청자는 단어 내부에 작동하는 이 런 역학관계에 의해 미니멀리즘 음악을 받아들일 때 ‘수렴하는 상(像)’을 이 음악 경험 이전 에 전제한다. 다만 이런 억압의 구도가 항상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은 아니며, 사례에 따라 미니멀리즘 음악의 대중 소통가능성으로 나타나기도, 때로는 미니멀리 즘 음악에 대한 경시로 나타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미니멀리즘 음악이라는 기표가 독특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이러한 상황 자체가 미니멀리즘 음악 고유의 특성이라 보았다. 또한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일련의 논 의를 바탕으로 미니멀리즘 음악을 다음과 같이 정의 내렸다. 미니멀리즘 음악이란, 이 음악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그 기원인 극도로 미니멀한 형태를 계속해서 상상하도록 유도되는 음 악이다. 또한 미니멀리즘 음악이란, 그 안에 포함된 특정 음악 요소를 미니멀한 무언가로 보 고자하는 욕망과 관계되어 있는 음악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finition of 'minimalist music' in two contrasting ways. 'A convergent definition' places minimalist music in a particular context based on 'political, social, aesthetic, and musical' conditions that describe the early minimalist music. On the other hand, 'a divergent definition' refers to various kinds of minimalist music that only partially satisfy the aforementioned four conditions or are difficult to categorize.
Then,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s why these two definitions of minimalist music can co-exist. This phenomenon arises from the fundamental problem that 'language' cannot dictate a specific object clearly, and is also triggered by the fact that 'minimalist music' has changed so rapidly, and that the term 'minimal' is an adjective with ambiguous meanings.
In addition,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se two different definitions of minimalist music affected the acceptance of minimalist music. Especially, the meaning of 'minimalist music' exists as a dichotomous concep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and the convergent definition is central.
As a result, this paper regards the unique way in which the term 'minimalist music' functions as a characteristic of the genre itself.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this paper defines 'minimalist music' as follows. Minimalist music is a kind of music that induces listeners to imagine its extremely minimalistic origin in the process of its reception. Minimalist music is a kind of music that is related to a desire to view its musical elements as 'minimal.'

저자
  • 이민희 | Minhee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