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ㆍ청소년의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 on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05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ᆞ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실행기능에 대한 중재 동향과 적용된 접근 법을 분석하여 작업치료 임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근거중심의 중재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연구방법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해외 학회지에 개제된 연구를 대상으로 MEDLINE, Scopus, PubMed, ProQuest,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는 “Autism or ASD AND Execu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r therapy or approach or treatment or training” 이 었고 최종 2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결과 :선정된 연구는 연구의 질적수준, 연구 참여자의 특성, 중재종류, 종속변인으로 측정된 실행기능 영역, 실행기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 측정도구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근거수준은 수준Ⅰ에 해당하는 무작 위 대조연구가 8편(38.1%)으로 가장 많았고 19편의 연구가 고기능 자폐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행 기능에 대한 중재의 종류는 총 11가지로 응용행동분석, 인지행동 접근, 보완 대체요법을 사용한 중재가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으로 많이 사용된 실행기능 영역은 인지적 유연성이었고 실행기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은 사회적 기술과 행동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각 영역별 측정도구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도구로는 스트롭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 선로 잇기 검사, 런던타 워 검사, 실행기능행동평정척도가 있었다.결론 :연구를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ᆞ청소년의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동향 및 다양한 중재법, 평가 도구를 알 수 있었다.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평가도구가 다양하고 혼 재되어 있으며 실행기능 중재에 초점을 둔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실행기능 결함이 자폐 범주성 장 애의 주요 특징으로 나타나고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실행기능에 관심을 가지 고 평가도구 및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examine the intervention on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and to provide evidence regarding occupational therapy.Methods :Studies for this review were collected by searching the MEDLINE, Scopus, PubMed, ProQuest, Cochrane Library database for article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6, using the following key word: "Autism or ASD AND Execu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r therapy or approach or treatment or training”A total of 21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e level of quality,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type of intervention, component of executive functions used as dependent variable, another dependent variable, and measurement. The articles reviewed eight Level 1 evidence articles(38.1%) and 19 studies were conducted on high-functioning children with ASD. Applied behavior analysis,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were the most commonly applied interventions. The component of executive function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was the most cognitive flexibility. The other variables were social skills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measurement tools for each area varied widely. A typical tool were stroop test, digit span, TMT, TOL, BRIEF.Conclusion :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were able to find and understand the trend of intervention on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ASD. As the executive function defect is a major feature of ASD,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evaluation tool and intervention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occupational therapy field with an interest in the executive function.

저자
  • 김은영(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Eun-Young Ki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유은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Eun-Young Yo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